LPG업계가 시장 확대를 위해 진행하고 있는 대북LPG사업이 열매는 커녕 꽃도 피우지 못하고 쓰러질 위기에 놓였다.

탱크로리를 이용한 LNG공급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난방공사는 지난 10월 22일 통일부에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에게 지역난방 방식의 집단 에너지 공급하겠다며 ‘개성공단 열공급 사업승인신청서’를 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역난방공사는 통일부의 사업승인이 나는 대로 북측 개성공단관리위원회의 추가 승인을 받아 열원 공사에 들어갈 예정인데 배관공급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탱크로리를 이용해 LNG를 공급받아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LPG업계는 개성공단 탱크로리 LNG공급 가능성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대북사업이 갖는 사업적 위험성을 감수하고 어렵사리 추진해온 LPG공급 사업이 성과 없이 무너질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다. 탱크로리 LNG공급으로 이미 강원도 등에서 쓴 맛을 본 터여서 개성공단에 대한 애착은 더욱 간절해 보인다.

개성공단에도 언젠가는 LNG가 공급될 것이라는 것은 거부할 수 없는 대세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경제성도 없고 명분도 빈약한 탱크로리 LNG 공급에 대해서는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가스공사는 공기업이지만 엄연히 주식시장에 상장된 회사로 수익 추구가 당연하다. 수익을 내기 어려운 개성공단 탱크로리 LNG공급을 환영할 주주가 있을지 생각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 동절기 마다 불안한 국내 LNG수급 때문에 스팟 물량 구하기에 바쁜 마당에 개성공단에 LNG를 탱크로리로 공급하는 것이 마땅한지도 의문이다.

북한 사업이라는 위험을 감수하고 에너지 업계 최초로 북한에 진출해 시장을 개척해온 LPG업계의 사업 의지를 꺾을 수 있다는 사실도 간과할 수 없다.

개척자라는 멍에를 지고 어렵사리 개척해 놓은 북한시장을 정부 지원이나 물량 공세로 낚아채려는 시도는 사기업의 경제활동 의지를 짓밟는 처사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개성공단에 탱크로리 LNG가 공급될 지 여부는 산자부의 정책적 결단에 달려있는 상황이다.

통일부가 이에 대한 판단을 산자부에 의뢰하면서 사실상 결정권이 산자부에 넘어갔기 때문이다.

개성공단 가스 공급권 처리는 산자부의 가스 산업에 대한 솔직한 시각도 함께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귀추에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