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판 배송센터가 표류하고 있다.

2005년 말 충남 당진과 강원 속초, 전남 영광 등 3개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사업에 착수해 수년간 도입 타당성이 타진됐던 터라 더욱 참담하다.

배송센터가 논의된 배경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잘 알려진 것 처럼 프로판 배송센터 도입은 LPG 산업 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 출발했다.

도시가스 보급이 확대되며 입지가 좁아지는데다 LPG는 위험하다는 인식까지 확산되면서 위기감을 느낀 프로판 산업은 배송센터에서 탈출구를 모색해 왔다.

실제로도 도시가스 보급률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이다. 게다가 정부는 최근 발표한 고유가 대응방안의 하나로 도시가스 보급확대를 꼽고 지원할 태세다.

정부는 고유가 상황에서 값싸고 편리한 도시가스를 소외 지역 계층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배관망 건설 융자를 확대하고 보급을 늘리겠다고 밝히고 있다.

LPG를 연료로 사용하던 지역에 도시가스 배관망이 깔리고 졸지에 영업권역을 잃게 되는 것이야 정부 정책의 큰 틀에서 진행되는 만큼 불가항력이다.

그렇다면 경쟁이 가능한 지역에서라도 살아 남아야 하는데 현재의 가격구조로는 이마져 쉽지 않다는 위기 위식에서 출발한 것이 배송센터의 시범 도입사업이다.

수입사에서 출발해 충전사업자를 거쳐 판매업계에 이르는 다단계 유통구조를 수입사에서 배송센터로 이어지는 2단계로 줄이게 되면 그나마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파이를 더 이상 빼앗기지 않고 프로판 업계가 공유하자는 취지의 이 사업은 하지만 내부의 이견과 균열로 갈 짓자 행보를 보여 왔고 이제는 사장될 위기에 놓여 있다.

배송센터의 도입이 도매 사업자인 충전소의 프로판 소매업 진출 계기가 될 것이라는 LPG판매업계의 우려 때문이다.

판매업계는 그 해결 방안으로 자신들이 충전소를 운영해 배송센터의 중심에 서야 한다며 LPG 수입사의 직영 충전소를 임대해달라고도 요구하고 있다.

판매업계 입장에서는 일리 있는 걱정이고 주장인 것만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판을 깨는 것을 전제로 하는 협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배송센터의 도입은 LPG산업 전체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겠다는 명분이 걸려 있기 때문이다.

배송센터 도입이 좌절되면 유통단계의 축소나 개선은 물건너 가고 소비자들의 외면을 극복하기가 힘들어 진다.

판매업계는 물론 LPG 업계 전체가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우를 범하지 않도록 신중한 고민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