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소의 과당 가격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거리제한 철폐이후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난 주유소 수를 감안할 때 가격경쟁은 시장주의 체제속의 당연한 현상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물론 유사석유나 면세유의 불법 유통을 통해 이해할 수 없는 가격을 내거는 주유소들은 철저한 단속과 다양한 법적 페널티를 통해 근절시켜야만 한다.

하지만 비슷한 가격대에 유류를 공급받는 주유소들이 무리한 가격경쟁으로 수익률을 악화시키는 것은 어찌 보면 주유소 업계 스스로의 문제일 수 있다.

남들이 다 하는데 나만 정상가격을 유지하면 당장 영업이 안 된다는 이유에서 정부를, 정유사를, 경쟁 주유소를 탓하면서 자신도 가격경쟁에 나선다.

가격경쟁에 내몰리는 현실은 주유소 운영인 혼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인 것은 사실이다.

최근에는 한정된 시장파이를 두고 점유율 경쟁을 벌이는 정유사가 가세해 직영주유소는 물론 가격경쟁이 치열한 라인의 자사 폴 주유소에 손실보전까지 제시하며 가격경쟁에 나설 것을 부추기고 있다고 한다.

이런 현실이 단기적으로 주유소의 판매량을 증가시키고 경쟁주유소를 따돌리는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런 무분별한 가격경쟁은 주유소업계라는 한배를 탄 모든 사업자를 침몰에 빠뜨릴 수 있는 자충수가 될 수 있음을 생각해야 한다.

업계의 구성원 하나 하나가 서로 경쟁하며 남을 탓하기에 바빠진다면 업계의 공동의 이익은커녕 공멸을 의미한다는 점을 인지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