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산 요소만으로는 국내 요소수 품질 규격 미달

공급망 다변화 위해 탈 아시아권 요소 수입 지원 필요

알뜰주유소 운영 공공기관 통한 탈 아시아권 요소 수입 검토돼야

베트남산 요소가 국내 항구에서 하역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베트남산 요소가 국내 항구에서 하역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플랫폼뉴스 정상필 기자] 중국의 요소 수출 중단에 대응해 정부가 지난달 베트남산 요소 5,500톤을 수입해 요소수 제조업체에 공급했지만 정작 베트남산 요소로 생산한 요소수의 품질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다만 교통환경연구소 확인 결과 베트남산 요소 수입 이후 품질 위반으로 적발된 업소수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 요소수 생산업체에 따르면 정부로부터 공급받은 베트남산 요소가 생산사에 따라 규격이 들쭉날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베트남산 요소만으로는 품질 규격을 맞추지 못해 중국산 또는 일본산 요소와 섞어 품질 규격을 맞춰 제품들을 유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용 요소수 품질기준을 맞추지 못한 요소수는 차량용이 아닌 산업용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요소 수입선 다변화를 추진한다고 하지만 요소수에 대한 자국 내 수요가 없는 국가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수입하는 것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요소수 생산 기준도 없는 나라에서 생산된 요소를 무리하게 수입하다 보니 농업용 요소와 섞인 품질이 낮은 요소가 수입되고 있다는 것. 

이처럼 품질이 저하된 요소수를 차량에 주입 시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요소수는 경유차량 배기가스 저감장치 중 하나인 선택적 촉매 환원법(SCR, Selective Catalyst Reduction)에서 배출가스에 분사해 촉매 반응을 통해 미세먼지 생성 물질인 질소산화물을 물과 질소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유차 배기가스 규제단계인 유로 6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SCR 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보편화된 방식으로 유럽을 비롯해 우리나라에서도 유로 6 기준에 따라 화물차나 경유 승용차에 SCR 장치를 부착해 출고되고 있다.

이런 요소수가 품질이 저하되면 불순물이 노즐을 막아 원활하게 질소산화물의 분해를 막게되고, 차량을 고장내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난 2021년 요소수 대란 당시 일부 품질이 떨어지는 수입산 요소수를 판매한 주유소들이 화물차의 SCR 장치 고장으로 차량 수리비를 대신 부담한 사례도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품질이 떨어지는 요소를 수입해 수급난을 겪고 있는 중국산 요소와 섞어 쓰는 것은 결국 중국산 재고가 떨어지면 수천톤의 베트남산 요소가 있더라도 추가적인 생산이 불가능해지는 상태에 놓이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수입선 다변화를 위해서는 동남아시아가 아니라 유럽 등 요소수 생산 기준을 두고 자동차용 요소수를 생산하고 있는 나라에서 요소를 수입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요소 수입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독일산 요소 재고가 충분하지만 수입에 45~50일 정도 걸리고 운송비용도 동남아시아에 비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지금처럼 요소 수급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비싼 운송비를 들여서라도 요소를 수입해와야 하지만 운송 기간 중 중국이 요소 수출제한을 해제하면 비싼 운송비를 들여 수입해온 요소는 가격이 높아 판매할 수가 없어 수입업체가 손해를 떠안게 된다. 

한 요소 수입업자는 “정부가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운송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탈 아시아권에서 수입해오는 요소에 대해서는 아시아권 운송비와의 차액만큼 100% 정부가 보전해 준다면 진정한 공급망 다변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공공기관을 통한 탈 아시아권 요소 수입도 검토돼야 한다는 제안도 있다.

알뜰주유소 운영사인 석유공사와 도로공사가 비 아시아권에서 수입해온 요소를 전량 매입해 OEM으로 요소수를 생산한다면 중간 유통비용이 제외돼 높은 물류비용을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수입업자는 “정부가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중국이 아닌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에서 요소를 수입해 오고 있지만 결국엔 중국산 요소가 이들 국가를 거쳐 국내로 들어오는 것에 불과하다”며 “진정한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서는 비 아시아권 국가에서 생산된 요소를 국내에 들여올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