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송승온 기자] 러-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천연가스 수급위기가 고조되면서 LNG 쟁탈전이 가열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천연가스 도입 다각화를 위해 총력을 다할 방침으로 우선 올해 연말까지는 한국가스공사 저장탱크를 가득 채울 정도의 물량은 확보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부 대책 중 눈길을 끄는 점은 LPG 혼소를 비롯해 산업용 연료대체, 타 발전원의 적극적 활용 등 LNG 수요 절감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숭실대 온기운 교수 역시 본지 칼럼에서 ‘장기적으로는 LNG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등 비 화석연료 사용을 늘리고 수소와 암모니아 등을 LNG와 혼소, 전소하는 기술개발을 촉진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LNG 시장의 공급 둔화가 중장기화 될 것으로 예측하며 가격 고공 행진 역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지금의 에너지 안보 위기는 EU의 ‘REPowerEU’ 계획과 같이 에너지전환 속도를 가속화 시키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도 LNG 수요가 둔화될 수 있다는 예측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발전공기업까지 나서 LNG 터미널 건설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점은 다시 한번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김성환 의원 역시 최근 국정감사에서 ‘중부발전과 남부발전이 LNG 터미널 예타 통과과정에서 중장기 발전량, 발전비용 절감 편익을 과다·중복 계상해 부풀렸다’며 ‘발전 공기업들의 LNG 터미널 인프라 투자를 방치할 경우 터미널 시설들이 향후 대규모 좌초자산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특히 오는 2034년 기준수요 대비 국내 저장용량은 17.1%로서 지난 2013년 대비 58% 증가가 예상된다.

더군다나 제14차 계획 수립 시 예상 대비 민간 터미널 60만kl가 추가 승인돼 저장용량 여유가 충분한 상황이다.

글로벌 천연가스 수급 위기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누구도 쉽게 예단할 수 없다. 정부는 LNG 터미널 증설 사업이 중복투자로 이어질 수 있는지 국내외 기업,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며 신중히 점검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