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송승온 기자] 최근 천연가스산업에서 최대 화두는 CCUS(Carbon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이다. 

CCUS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CO₂를 포집, 압축·수송 과정을 거쳐 육상 또는 해양 지중에 저장하거나 화학소재 등의 유용한 물질로 활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자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화석연료를 보다 친환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해결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70 글로벌 탄소중립’ 과정에서의 CCUS의 기술 기여도를 CO₂ 전체 감축량의 15% 수준으로 제시하며 ‘CCUS 기술 없이 넷제로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전망한 바 있다.

또한 국내 LNG 발전에 대한 불신이 날로 높아지는 상황에서 천연가스의 브릿지 역할을 위해선 CCUS가 유일한 해결책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한국가스공사와 SK E&S, 그리고 최근 ‘포스코인터-포스코에너지’ 합병을 결정한 포스코그룹 역시 CCUS기술과 결합한 친환경 LNG 사업을 구상 중이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산업군 특성상 탄소세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되기에 CCUS 기술의 상용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를 위한 법ㆍ제도 기반이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또 일부 기술을 제외하면 기술이나 경제적으로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해 제한적인 분야에서만 CCUS 기술 적용이 가능한 상황으로서 EU나 미국처럼 관련 정책을 통해 기술개발을 지원해야 한다는 전문가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국회입법조사처 역시 CCUS 상용화를 위해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포집한 탄소 저장소 확보,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을 위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한 바 있다.

아울러 CCUS 상용화 촉진을 위해 규제완화,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 및 기술개발 지원제도 마련 등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 검토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제언했다.

CCUS는 단순히 화석연료의 확대나 수명연장을 위한 수단이 아닌 에너지전환기에 있어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감축하는 최적의 수단이자 세계적 트렌드임이 증명되고 있다.

정부가 업계와 머리를 맞대고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정책지원에 대한 논의를 서둘러야 할때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