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정부의 구매보조금 지원으로 올 한 해 보급되는 전기차가 20만7,500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해 내수 시장에서 판매된 자동차가 총 173만대인 점을 감안하면 약 12%에 해당되는 물량이 올 한해 전기차로 채워진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12월 기준 전기차 등록 댓수가 23만1,443대로 올해 신규 보급되는 물량을 포함하면 누적 기준 43만대 수준에 달하게 된다.

정부가 지난 해 말 확정한 NDC에서는 2030년까지 전기·수소차 450만대 보급 목표를 설정했다.

지난 해 12월 우리나라 전체 자동차 등록 댓수인 2,491만 여대를 대입하면 무공해차 비중이 18%를 차지하게 된다.

정부가 매년 수 조원 대의 재정을 투입해 전기, 수소차 보급 확대를 지원하고 수송에너지 전환 목표를 상향 조정하는 배경은 온실가스, 미세먼지 같은 대기 오염 물질 저감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급격하게 증가하는 전기차에 대응해 친환경 전력 공급이 가능해야 정책 효과가 궁극적으로 완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올해 수립하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탄소중립 과정에서의 전기화 수요 증가 영향을 반영하고 재생에너지의 대폭적인 확대,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 전원을 전원 구성에 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해 10월 확정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서는 2018년 기준 41.9%인 석탄발전 비중을 2030년에는 21.8% 까지 줄이고 같은 기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6.2%에서 30.2%로 확대한다고 명시했다.

그런데 이 목표가 실현되더라도 전기차가 사용하는 전력 중 무공해 전력은 30% 수준에 그치고 나머지 대부분은 석탄이나 LNG 같은 화석 연료 발전으로 충당해야 한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탄소중립이나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로드맵의 현실성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기후변화센터가 지난 해 말 실시한 탄소중립 인식조사에 따르면 전문가 89%가 2050 탄소중립의 목표 달성에 부정적으로 답했다.

현 정부의 탈원전 기조가 유지될 경우 전력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이 더 요원해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에너지 안보도 걱정이다.

지난 해 말 유럽, 중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전력난으로 전 세계가 천연가스 가격 급등 리스크에 노출되었고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은 유럽 주요국들은 상시적인 수급 불안 우려에 시달리고 있다.

올해 브렌트 가격이 배럴당 100불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은 에너지 물가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는데 향후 20~30년 동안 화석연료 의존도가 여전히 높을 것이라는 각종 기관들의 전망을 감안하면 자원빈국 우리나라는 발등에 불을 얹고 사는 셈이다.

당장 전기차 몇 십만대 늘어난다고 에너지 안보 운운하는 것이 기우일 수 있다.

그런데 친환경 발전 능력을 확대하고 석유, 천연가스 같은 자원 안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하루 이틀 사이에 가능한 일이 아니니 미리 걱정하고 대비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국가 에너지 안보가 위협받지 않으면서 청정 기반의 전동화가 진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플랜들이 더불어 논의되고 공유돼 기업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정책적 세심함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