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친환경으로 인식되던 LNG(천연가스) 발전에 대한 의구심이 끊이지 않고 있다. LNG도 엄연한 화석연료로서 미래에너지원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LNG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는 곳에서는 지역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이 건설반대 캠페인을 펼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실제 건설이 무산된 사례도 있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위해 설립된 기후솔루션은 최근 LNG가 생산에서 소비까지 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고려하면 국내 석탄발전소의 단위전력당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8%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에 더 이상 국내 공적 금융기관이 석유나 천연가스 사업에 투자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최근 에너지업계에서는 예상보다 빠르게 탈 LNG 정책이 실현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국내 기업들은 최근 앞다퉈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바로 CCUS 기술이다. 
CCUS는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의 약자로 이산화탄소 포집(Capture)·저장(Storage)·활용(Utilization) 기술을 의미한다. 발전 및 산업체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CO₂를 포집한 후 육상 또는 해양 지중에 저장하거나 화학소재 등 유용한 물질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SK E&S 추형욱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1일 미디어데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CCUS 기술 확보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포스코 역시 CCUS나 수소환원제철과 같은 기술로 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그린스틸’ 생산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세웠고,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 6월 미국의 에너지 기술 기업인 베이커 휴즈와 CCUS 및 수소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천연가스가 에너지전환의 브릿지(Bridge)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선 CCUS 기술과 연계한 LNG 생산이 유일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역시 ‘CCUS 기술 없이는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에 도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전망했다.

미국과 유럽 등 세계 선진국들은 CCUS 기술을 포함한 온실가스저감 정책을 발빠르게 수립, 투자를 유인하고 있다.

한국도 CCUS 기술에 대한 에너지업계 관심은 물론 정부의 강력한 정책지원이 필요한 시기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