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정상필 기자] 독일에서 자동차 엔진을 수입해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를 만들면 제조국을 어느나라로 표시해야 할까?

당연히 제조국은 대한민국이다.

그렇다면 중국산 셀을 수입해 제작한 태양광 모듈의 제조국도 대한민국이다.

그런데 중국산 셀을 수입해 국내에서 제작한 태양광 모듈에 대해서는 국내산임을 부정하는 시선이 존재한다.

일각에서는 ‘태양광 모듈의 국산 점유율이 모두 거짓’이라며 ‘포대갈이’ 수준으로 원산지 조작을 하고 있다는 식으로 국내 태양광 산업계를 깎아내리고 있다.

몇해 전 태양광 관련 해외 사정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해외 주요국의 태양광 모듈 국가별 적용현황을 조사한 적이 있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해외 주요국에서 사용되는 태양광 모듈의 대부분은 중국산 모듈이 적용되고 있었다.

일부 국가는 과도한 중국산 태양광 모듈의 시장 점유로 인해 자국내 태양광 제조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쿼터제를 통해 제한하는 국가도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쿼터제 자체가 필요없는 상황에 놓였다.

중국을 제외하고 태양광 제조산업을 이어나가고 있는 국가는 우리나라뿐이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치킨게임에 가까운 생산용량 증설을 통해 공격적인 행보를 펼치면서 연이은 가격 하락으로 각국의 태양광 제조기업들이 밀려 설 자리를 잃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태양광 기업들은 안정성과 기술력으로 세계 시장에서 당당히 경쟁하고 있다.

정부도 탄소인증제 도입 등 국내 태양광 기업들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의 태양광 모듈 시장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 정책의 핵심인 태양광 산업은 셀 생산 공정 대비 수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된 셀과 웨이퍼를 사용하기 위한 노력은 물론 탄소사용량을 줄인 제품 생산을 위한 기업의 연구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태양광산업계에서는 이같은 상황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는 바라지도 않는다.

하나의 산업이 뜨고 지는 것은 단순히 기업의 노력 만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중국 기업들이 세계 태양광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우리나라 태양광 산업에 대한 흠집내기식 비난 보다는 우수한 기술력에 초점을 맞춰 성장을 지원하는 시각의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