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영원할 것 같지만 세상만사 모든 일에는 부침(浮沈)이 있고 흥망성쇠(興亡盛衰)를 피할 수 없다.

‘피할 수 없다면 즐기라’는 격언은 그저 말일 뿐이고 쇠하는 과정을 피할 수 없다면 연착륙(軟着陸, soft landing)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 세상이 전기와 수소차를 가까이 하겠다고 선언하는 한 쪽에서 내연기관차는 멀지 않은 시점에 퇴출돼야 하는 신세로 여겨지고 있다.

내연기관 자동차에 연료를 공급하는 주유소와 충전소도 덩달아 사양산업으로 내몰리고 있다.

전국 최초로 또 유일하게 오는 2030년까지 도내 대부분의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중인 제주도에서는 내연기관차가 물러나고 주유소와 충전소는 쇠퇴하는 수순이 예고되어 있다.

제주도에서도 걱정이 됐던지 전기차 보급이 확산될 때 피해를 입는 기존 산업과의 상생 협력 방안을 에너지경제연구원에 의뢰했는데 예상되는 피해 규모는 짐작됐던 것만큼 충격적이다.

제주도가 ‘2030년 탄소제로섬(Carbon Free Island)계획’을 원안대로 추진하면 도내 주유소 93%가 문을 닫는다는 분석이다.

관광 수요로 LPG렌터카 천국인 제주도에는 현재 38개 LPG충전소가 영업중인데 2030년에는 모두 존립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주유소 대부분 그리고 LPG 충전소 모두가 문을 닫게 되는 셈인데 그 과정을 지켜봐야 하는 내륙의 에너지 공급 시장도 긴장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기차와 수소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 시간의 문제일뿐 내륙 에너지 유통 시장 역시 제주도의 전철을 밟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환경 변화를 거스를 수 없다면 쇠락하는 과정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고 연착륙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에너지전환은 정부 정책 의지에 따른 것이고 전기차와 수소차의 확장은 정부 보조금이 동력이 되고 있다.

국민 세금으로 전기차와 수소차 구매 비용을 보조하고 충전설비 건설을 지원하며 요금을 깎아주고 있으니 인위적인 정부 정책이 내연기관 연료 시장을 더 빨리 쇠락의 길로 내몰고 있는 것은 틀림없다.

그래서 정부는 전기차와 수소차의 장밋빛 로드맵만 자랑하지 말고 그 한편에서 소외되고 쇠락할 수 있는 산업을 보호하고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같이 고민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업종 전환이나 사업 다각화를 모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발굴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만 바라보고 홀로 가는 것은 올바른 정책 전환의 자세가 아니다.

제주도에서 시작된 내연기관 관련 산업과의 상생 협력 모색이 이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고민되고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