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公 경제경영연구소, 천연가스 수요 다변화 전망
천연가스 공급망에 대규모·거점형 수소생산기지 구축

▲ 한국가스공사 평택 LNG생산기지 전경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천연가스 연료가 정부 에너지전환 정책 추진에 힘입어 발전·수송용 연료로서 수요처가 다변화되는 동시에 특히 수소경제 초기 핵심 공급원으로서 역할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발간된 한국가스공사 경제경영연구소의 계간 가스산업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과 천연가스의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수소경제 구현을 위해 2040년까지 연료전지(발전용 8GW, 가정·상업용 2.1GW)와 수소차(290만대)의 보급을 확대하고, 수소경제 초기의 핵심 공급원으로 추출수소의 대량생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천연가스 공급망에 대규모·거점형 수소생산기지와 수요처 인근에 중·소규모 수소생산기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발전용 에너지원으로서 천연가스의 역할을 확대함과 동시에 가정용과 수송용 연료로서 수요처를 다변화하는 에너지믹스 정책방향이 제시됐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가스공사 최성수 연구원은 에너지전환 정책의 추진과 더불어 천연가스의 역할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 발전부문 천연가스 역할 확대, 2022년 이후 가능

원전과 석탄의 비중은 축소하는 반면 재생에너지와 천연가스의 확대를 핵심으로 하는 정부 에너지전환 정책은 발전부문에서 천연가스의 역할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상승시키는 요인이다. 

하지만 원전과 석탄화력을 중심으로 수립됐던 과거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당분간 확대될 수 밖에 없는 기저설비의 영향력이 에너지전환 정책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2022년 이후에나 전환효과가 구체화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다만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장기적으로 기저설비 축소는 불가피한 상황. 원전은 8차계획에서 17.9GW가 축소됐으며 2017년 확정된 에너지전환(탈원전) 로드맵에 따라 2040년까지 4GW가 추가로 감소될 예정이다. 

석탄화력 역시 8차계획에서 6.2GW가 축소됐으나 2031년까지만 고려하더라도 운전연수 30년이 경과하는 노후설비가 9.9GW에 달하고 이에 더해 2040년까지 추가로 8.8GW의 설비에서 노후화가 진행될 전망이다. 

따라서 전통 발전원의 수요기저 감소에도 불구하고 천연가스 발전설비의 입지는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최성수 연구원은 “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화석연료 중에서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배출이 가장 적은 천연가스의 활용도가 각 분야에서 증대되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발전용 에너지원으로서 천연가스의 역할을 확대함과 동시에 가정용과 수송용 연료로서 수요처를 다변화하는 에너지믹스 정책방향도 담겨있다”고 설명했다. 

◆ 가스公, 수소경제 밸류체인에 선제 투자할 것

특히 수소경제 구현을 위해 2040년까지 연료전지(발전용 8GW, 가정·상업용 2.1GW)와 수소차(290만대)의 보급을 확대하고, 수소경제 초기의 핵심 공급원으로 추출수소의 대량생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천연가스 공급망에 대규모·거점형 수소생산기지와 수요처 인근에 중·소규모 수소생산기지도 구축할 계획이다. 따라서 에너지전환 정책의 추진과 더불어 천연가스의 역할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올해 1월 수립된 한국가스공사의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에 따르면 공사는 2030년까지 총 4조7000억원을 신규 투자해 일자리 5만개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공사는 ▲수소 운송·유통 부문 인프라 선제 구축 ▲수소산업의 상업적 기반 조성 ▲수소산업 전 밸류체인의 기술 자립 실현 ▲선진국 수준의 안전관리 체계 조기 확립을 ‘4대 추진방향’으로 설정하고 정부와 함께 세부 추진계획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전국 4854km에 이르는 천연가스 배관망과 공급관리소 403개소를 활용해 2030년까지 수소 생산시설 25개를 마련하고 설비 대형화 및 운영 효율화를 통해 제조원가를 낮출 계획이다. 

올해에는 실증단계로서 정부 보조금과 지자체 예산을 활용 약 60억원을 투입, 가스공사 김해관리소에 수소 추출기 및 충전소를 설치해 운영할 계획이다. 

충전소는 2022년까지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9개소, 수요증가 및 설비 가동률 등을 고려해 2025년까지 6개소, 수소 수입 인프라 등을 고려해 2030년까지 10개소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국내 운송 인프라 구축을 위해 2030년까지 튜브트레일러 500대, 배관망 700km를 건설할 예정이다. 초기에는 튜브트레일러를 통해 공급하고 중장기에는 배관과 튜브트레일러 공급을 혼용한다는 것. 튜브트레일러는 공사가 소유하고, 운영은 민간에 위탁하며 안전관리는 가스공사가 맡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달 취임한 한국가스공사 채희봉 사장 역시 “우리나라 수소경제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선제 투자는 물론 LNG를 활용한 벙커링·화물차 연료 전환·냉열 사업 등 에너지 신사업을 적극 육성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