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리스크 낮추고 송전탑 건설 등 사회적 갈등도 해소
국회 세미나서 확대 보급·시장 제도 개선 필요성 제기돼

▲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정순 선임연구위원이 국회에서 열린 열병합발전 확대 세미나에서 ‘국가 에너지믹스에서 열병합 발전 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지앤이타임즈 배유리 기자]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분산형 전원의 일종인 집단에너지 열병합발전시설이 미세먼지 저감 대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장병완 위원장과 기후변화센터는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병합발전의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저감 효과와 국가 에너지믹스에서의 역할'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한국전기연구원 이창호 연구위원,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정순 선임연구위원, 임용훈 책임연구원은 지역냉난방 열병합발전의 사회적 편익 및 전력수급 효과를 설명하고 열병합발전 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와 기술적 과제를 발표하며 열병합발전시설 확대가 미세먼지 저감대책이라고 주장했다.

에너지 효율이 좋은데다 주로 태양열·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LNG, 폐기물 등 친환경 에너지원을 사용해 대기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한다는 설명이다.

이창호 연구위원은 세미나에서 "열병합발전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편익을 제공할 뿐 아니라 초고압의 대규모 송전선로 건설, 송전탑 건설에 따른 보상 등 사회적 갈등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열병합발전은 분산형전원으로써 설비·환경 편익 등을 제공하는 만큼 활성화를 위해 시장제도 개선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정순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열병합발전은 환경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대기오염 방지 편익을 제공하고, 경제적으로는 연료비용과 전력구매 비용, 난방시설 대체 비용 등의 절감효과를 가져 온다"고 말했다.

또 분산형전원이기 때문에 정전 리스크를 낮추는 편익성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박 위원은 "이런 장점 때문에 유럽연합(EU)은 열병합발전 비중을 2013년 12%에 2030년까지 20%로 높일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2030년 연간 약 1714Twh(테라와트시)의 1차 에너지를 절약하고 연간 686Mt의 이산화탄소 감축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에너지시민연대 홍혜란 사무총장은 “사회적 수용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열병합발전 확대 필요성을) 국민에게 어떻게 알리고 수용하게 할 것인지 고민해 봐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