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김신 기자] 지구온난화로 한반도가 아열대성 기후로 바뀌고 있다는 징후가 여러 군데서 나타나고 있다.

사과는 민통선 인근인 경기 북부 연천까지 재배 지역이 북상했고 한라봉 등 제주 특화 작물도 충청도 충주 등지에서 생산되고 있을 만큼 육상 작물 생태 지도는 적색 빛을 띄고 있다.

우리나라를 둘러싼 3면의 바다에 열대성 어류 발견 빈도가 높아지고 있고 이제는 냉수성 어종인 명태 등이 자취를 감추고 있다는 소식은 더 이상 놀라울 일이 아니다.

기상재해도 빈번하다.

6월 하순에 시작해 7월까지 기승을 부리던 여름 장마는 사라지고 아열대성 스콜이나 때를 가리지 않는 국지성 폭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 부산을 비롯한 남부지역이 시간당 100mm가 넘는 집중 폭우로 큰 물난리를 겪었고 일부 지역은 재난지역으로 선포될 전망이다.

물난리로 인한 피해 현황과 복구 상황이 연일 방송에 비춰지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섬뜩한 자료 하나가 공개됐다.
국회 이강후 의원이 전기안전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자체가 관리하는 가로등․신호등 등 전기시설물 1만1000여개가 감전위험에 노출된 채 방치돼 있다는 소식이다.

잘 알려진 것처럼 지난 2001년 7월 15일 발생한 홍수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22명의 시민이 감전사고로 사망했다.
이후 가로등 등 전기시설물에 대한 전기누출 예방이 강화되고는 있지만 비오는 날 길거리를 거닐다 우연히 만진 가로등에 감전돼 숨질 확률은 여전히 남아 있는 셈이다.

더구나 최근 빈발하는 집중호우로 도로 침수 등이 발생할 경우 길거리 가로등 등 각종 전기 관련 시설물의 누전을 방지하지 못한다면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 자료를 공개한 이강후 의원에 따르면 개선권고를 받은 지자체가 누전 시설물 등을 고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만약 사실이라면 이로 인한 사고는 명백한 인재가 될 수 밖에 없다.

선진국(先進國)은 반드시 먼데 있는 것이 아니다.
국민의 기본적인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려는 작은 실천과 배려를 멀리해서는 앞서 나가는 국가가 될 수 없다.
제발 후진적 감전사고로 인한 인재가 발생하지 않기를 희망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