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환경과 에너지를 동시에 해결하는 대안으로 지역에 맞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친환경에너지타운’을 만들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올해 안에 3~4개 지역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해 성공사례를 만들고 지역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전국으로 확산시켜 안정적 에너지 수급체계를 구축 하겠다는 것.

며칠 후 일부 지자체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보도자료를 쏟아내며 ‘우리가 최적합 지역’이라고 후보지 선정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재까지 직‧간접적으로 유치를 표명한 지차체는 강원, 울산, 광주, 인천, 평창, 대구 등이다.

일단 업계는 대통령이 직접 에너지 타운을 거론했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는 분위기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은 사실상 아무것도 없다고 할 수 있다.
담당 주무부처라 할 수 있는 환경부와 산업부 조차 대통령 발표 직후 서둘러 친환경에너지 타운의 정체파악(?)에 나섰다는 후문도 있다.

또한 일부 지자체에서 발표한 시범사업 추진 계획만 보더라도 급작스럽게 끼워 맞춰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지자체 마다 기존에 펼쳐 오던 신재생 및 관련 에너지 사업에 아직 실체도 없는 ‘타운’을 가져다 붙인 모양새가 강하다.

많게는 수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보이는 친환경에너지 타운은 기본적으로 부가가치 및 고용유발 효과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지자체에서 유치 욕심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물론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해 그동안 투자해온 친환경에너지 산업의 그림을 완성한다는 목표도 충분한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다만 우려가 되는 것은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해 에너지산업에서 우리가 지켜봐 왔듯이 ‘일단 해보고 안되면 그만’이라는 안일한 기대이다. 지금도 전국 각 지역에는 거액의 예산이 투입된 수많은 신재생에너지 기기들이 가동도 못한채 잠만자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선 정부는 친환경에너지타운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 라인이 담긴 구체적 계획을 제시해야 할 것이고,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는 가이드라인에 맞춰 적합한 에너지원이 무엇인지 차근차근 검토할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