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찰관 2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구 대명동 LPG연쇄폭발사고 이후 한국가스안전공사는 뒤늦게 특별단속반 운영 등 단속강화에 나섰다. 하지만 LPG용기에 대한 품질검사 강화와 인력배치, 용기 관리 주체에 대한 규정, LPG용기 전자코드관리 등 오래전부터 요구돼 왔던 문제에 대한 해답은 없었다.

지난 6월 발생한 천안 음식점 폭발 사고의 원인이 내부 용접불량으로 인한 LPG용기 파열로 드러났다. 애초에 신규용기에 대한 철저한 검사가 없었다는 뜻이다.

현행 LPG용기의 품질검사는 완성된 용기 중 10%만을 임의로 선정해 공사 직원의 입회검사가 이뤄지고 나머지 90%는 제조업체가 자체적으로 검사하도록 돼 있다.

결국 현행 제도에서는 얼마든지 제2, 제3의 불량용기 폭발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폭발 사고 이후 가스안전공사는 같은 날 출고된 동일로트 499개의 불량 용기에 대해 뒤늦게 회수조치를 내렸다. 그런데 해당 용기 중 절반가량의 용기를 아직도 회수조차 못하고 있다. 이번에는 이력·추적 시스템의 부재로 나머지 242개의 LPG용기는 결국 그 행방조차 묘연하다. 사고 이전과 이후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모두 헛점이 드러난 것이다.

또한 오래전부터 지적돼 왔던 LPG용기 관리 주체의 모호함에 따른 문제점은 최근 추진되고 있는 소형저장탱크 보급사업과 농어촌 배관지원 사업에서도 여전한 문제다.

대부분이 고령자이면서 가스안전 비전문가이기도 한 농어촌 마을주민들을 안전관리자로 내세우는 현행 체계에서는 다수의 미 검사시설을 양산할 뿐 아니라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지금껏 명확한 관리 주체가 없는 LPG용기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충분히 봐왔다.
정부는 판매업계가 주장하는 전자코드 도입 등 적극적인 안전관리 방안 마련은 물론, 마을단위로 확대되고 있는 소형저장탱크에 대해서는 지상탱크와 함께 지하배관 등의 소유·관리 주체에 대해서도 명확히 구분해야 할 것이다. 단속만을 강화할 것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