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연료 및 바이오가스 생산해 8억원 경제효과
'자원순환형 녹색도시' 이미지 구축에 기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이충재)은 세종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이용해 고형연료 및 바이오가스를 생산, 5개월간 8억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현재 세종시는 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세종시에서 발생된 폐기물은 자동수거시스템을 통해 가연성폐기물과 음식물 폐기물로 분리해 자동집하장으로 모이고 있다.

이렇게 모여진 가연성 폐기물은 폐기물연료화시설로 보내 고형연료로 만들고 음식폐기물은 수질복원센터(하수종말처리장)에 있는 클린에너지센터로 보내 하수슬러지와 혼합해 메탄가스를 생산한다.

행복청에 따르면 올해 1~5월까지 폐기물연료화시설에 가연성 생활폐기물 1684톤을 반입해 고형연료 606톤을 생산, 폐기물매립장에 매립 처분해야 할 폐기물 36%를 연료화했다.

이 고형연료는 톤당 4만1000원에 판매돼 폐기물매립장 조성비 절감뿐 아니라 총 2485만원의 판매수익까지 올렸다.

또한, 클린에너지센터에서는 본격적으로 가동된 최근 5개월간 자동크린넷에서 수거된 음식물쓰레기 833㎥와 하수처리장 슬러지 4165㎥를 혼합해 15만4230㎥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했다.

음식폐기물을 연료화해 음식폐기물과 하수슬러지 위탁처리비 7억원을 절감한 데다 7500만원 상당의 메탄가스를 생산, 총 7억7000만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하수슬러지 해양투기 금지에 이어 올해부터 음식폐기물마저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지자체마다 폐기물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행복청 손윤선 녹색도시환경과장은 “아무리 좋은 시설이라도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 폐기물로 버려진다면 결국 무용지물이다”며 “첨단시설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폐기물이 얼마나 자원화 될지는 행복도시 입주민들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종시의 도시계획이 완성되는 2030년에는 폐기물 배출량이 늘어남에 따라 하루 동안 130톤의 고형연료와 5448㎥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해 연간 29억원 정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행복청은 전망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