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병효 기자
우리나라가 해외에 수십조원의 자원개발 비용을 퍼붓고도 국내로 자유롭게 석유를 가져올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큰 것은 국내기업들이 석유개발기술을 아직 확보하지 못하다 보니 단순히 지분투자만 반복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전 세계에 골고루 매장돼 있다는 셰일가스는 제2의 화석연료 붐을 일으키고 있다. 셰일가스가 한국에 매우 중요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한국은 에너지·자원 최빈국으로서 어떻게든 해외에서 자주개발물량을 확보해야 하는데 셰일가스가 가장 적합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셰일가스 역시 개발기술 확보가 최대 관건이다. 아직 북미기업밖에 개발기술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을 제외하면 세계 모든 국가가 동일 출발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유리한 국가가 있다면 셰일가스 개발기술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기반을 갖춘 곳이다. 셰일가스는 수평시추, 수압파쇄 기술이 핵심이다.

한국은 셰일가스 개발기술의 인프라가 되는 철강, 조선, 전자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갖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진다면 북미에 이어 제2의 셰일가스 개발기술 확보국가가 될 가능성도 높다. 그래서 정부는 개발기술 확보, 도입 등에 관한 내용을 담은 셰일가스 종합대책을 지난해 9월에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겉으로는 순조롭게 보이던 셰일가스 관련 정부 정책은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니 아주 딴판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국내 최대 시추기 제작사이자 유일하게 셰일가스 개발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한 기업은 수평시추 기술을 대략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실증하는 단계에 와 있다.

실증사업을 위해선 수백억원의 자금이 필요해 이 기업은 정부에 자금지원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한다. 정부의 셰일가스 종합대책 역시 현장 상황과는 전혀 동떨어진 것들 뿐이어서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한다. 이 기업은 정부 지원을 포기하고 외국기업과 함께 기술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른 사례로, 정부는 지난해 12월 말까지 ‘셰일가스 개발기술 확보 마스터플랜’을 확정하려 했으나 이달 말까지로 연기했다. 이유인 즉, 정부의 지원예산이 크게 줄어 부득이하게 계획이 변경됐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96%를 수입하고 그 비용이 자원까지 합해 연간 200조원이 넘는다. 매년 순수입에만 이 엄청난 비용을 쏟아부으면서 정작 중요한 개발기술 확보에는 불과 수십 수백억원을 투자하지 못하는 현실, 이것이 바뀌지 않는한 우리나라는 영영 96% 에너지 수입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