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병효 기자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냉방전력 수요가 폭증하면서 전력수급 위기가 가중되고 있다.

그나마 최근엔 기업체의 휴가가 몰리면서 전력사용이 가장 많은 오후 2~3시경 전력예비율이 7~9%를 기록하고 있지만 1주일 전만해도 5%를 가까스로 넘기는 아슬한 상황이었다.

지경부는 휴가인원이 복귀하는 이달 2~3주가 가장 큰 고비라고 전망했다.

전력수급 위기를 바라보는 가스업계는 안타깝다는 반응과 그럴 줄 알았다는 반응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안타깝다는 반응은 같은 에너지업계 종사자로써 수급 위기 상황 속에서 전력산업 종사자들이 얼마나 힘들게 일하고 있을 지를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가스업계 역시 가스수요가 급증하는 겨울철에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는 등 항상 비상대기 체제이기 때문이다.

그럴 줄 알았다는 것은 전력업계가 냉방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가스냉방을 매몰차게 외면한 것에 대한 냉소적 반응이다.

이상기후로 폭염 일수가 늘어나면서 여러해 전부터 여름철 전력수급 위기는 예견됐다.

이에 가스업계는 줄기차게 가스냉방을 대폭 확대해 전력수급 위기를 줄이자고 정부와 전력업계에 요청했지만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한해 2조원이 넘는 전력산업기반기금 중 고작 50억원을 가스냉방 설치보조금으로 지원한게 끝이다.

가스업계는 보조금 지원을 100억원으로 늘려줄 것을 요청하고 있지만 돌아오는 것은 “돈이 없다”는 대답 뿐이다.

물론 가스업계의 주장은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시키기 위한 측면이 강하지만 결과적으로 국가적 이익이라면 타당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에너지관리공단 연구에 의하면 전체 냉방수요 중 가스냉방 비중을 현재 12%보다 10% 더 늘린다면 LNG발전소 건설 회피비용 2676억원, LNG탱크건설 회피비용 253억원 등 연간 3000억원의 에너지 수요관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가스업계 종사자들은 현실에 맞지 않게 책정되고 있는 전기요금에 대해서도 이해 못하겠다는 반응이다.

저렴한 요금으로 기업과 서민을 돕겠다는 취지는 누가 말리겠는가만은 이로 인해 모든 에너지 사용이 전기로 대체되는 문제점에 대해선 왜 방관만하고 있냐는 것이다.

전력수급 위기를 안타깝게 지켜보고 있는 한 가스업계 종사자는 “진짜 블랙아웃이 한번 터져 봐야 정부나 전력업계가 정신을 차릴 것 같다”며 혀를 끌끌 찼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