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은 기자
최근 열린 한 세미나에서 지경부 관계자는 해외 자원개발 사업 추진과정의 문제점을 토로했다.

현 정부가 수많은 돈을 들여 석유공사의 해외 자원개발 사업의 판을 키웠지만, 석유공사의 자원개발 실무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나마 있는 인력들도 경력 5년 미만의 초보 수준으로, 민간기업에서 실무진을 더 데려와야 하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자원개발국과의 관계 형성이나 상황대처능력도 실무 노하우가 축적된 해외 메이저 기업에 비해 서툰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이와 관련해 정부가 자원개발 관련 장학사업과 해외 인턴십 제도 등을 통해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으려면 꽤 오랜 시간이 필요하므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기다려 줘야 하지 않겠냐는 반론도 제기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정부의 해외자원개발사업 에특융자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보다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할 대목이다.

해외자원개발협회에 따르면 해외자원개발사업에 투입되는 에특 융자금은 2008년 3억3000만달러에서 지난해는 2억5000만달러로 줄었고 올해는 1억7000만달러까지 떨어졌다.

에특융자가 들어간 민간기업의 해외 투자액이 2008년 58억2000달러에서 올해 149억달러로 증가한 것에 비하면 에특 융자금은 크게 감소한 것이다.

민간기업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정부가 성공불 융자 등의 방식으로 천문학적 자금을 지속적으로 투입할 필요가 있느냐는 대목은 사회적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기는 하다.

하지만 에너지 자원개발사업은 막대한 초기 투자비가 필요하고 사업 성공 확률도 낮은데다 상당한 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정부의 지원이나 희생 없이 민간기업을 독려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해외자원개발 사업에서 장기적 안목으로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모델을 찾기 위해서는 정부 스스로의 인내와 투자 그리고 민간기업과의 활발한 소통을 위한 열린 생각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