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관련 공공기관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고 제로화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안전 사고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

가스 안전 사고의 경우만 봐도 그렇다.

생활고나 신변을 비관해 LPG를 이용한 자살 같은 고의 사고는 아무리 선진화된 정부 정책으로도 사전에 차단하기가 어렵다.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사고 역시 마찬가지다.

가스 안전에 대한 계몽과 안전 관련 시스템을 강화하는 다양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방심한다면 사고를 막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선진화된 정책과 시스템으로 사고를 최소화할 수는 있다.

동절기면 반복되는 가스보일러 사고는 시공자나 사용자가 설치 기준을 준수하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들이 대부분이다.

배기통을 제대로 설치하지 않거나 설치 장소를 어겨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사망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가스안전공사는 가스 보일러 사고를 막기 위해 주요 사고 원인중 하나인 배기통의 적절한 설치 여부를 일제 점검하고 노후 보일러의 설치 현황 등을 파악하는 한편 정기검사제도 도입을 추진중이다.

무단 굴착에서 기인하는 타공사 사고를 막기 위해 유관 기관들과 합동 굴착공사 지원시스템(ECOS)을 구축하는 것도 선진화된 시스템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저소득 가구에서 비용 등의 문제로 안전에 소홀하다 사고가 발생하는 후진국형 사고도 정부 차원에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사실 농어촌이나 지방 소도시의 저소득층 가구는 가격 경쟁력을 갖추면서 안전성도 높은 도시가스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LPG나 등유 같은 대체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소득 역진성 문제가 늘상 도마위에 오르는 배경도 도시가스 사용 가구의 소득이 등유나 LPG 같은 연료를 사용하는 가구에 비해 높은데도 오히려 더 저렴하고 편리한 연료를 사용하기 있기 때문이다.

도시가스를 보급받지 못하는 것도 억울한데 저소득층 가구는 가스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와 관련해 지식경제부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 9만여 가구를 대상으로 LPG 시설 개선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총 149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LPG 고무 호스를 금속 배관으로 교체하는 등의 사업을 벌인다는 계획인데 시의적절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가스안전공사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 동안 발생한 전체 가스사고는 1091건에 달했는데 이중 LPG를 사용하는 주택에서 발생한 사고는 357건으로 전체의 32.7%를 차지했다.

LPG가 가스 사고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배경은 사용자의 취급 부주의 같은 원인도 크지만 관련 시설이 노후되서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런 측면에서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 가구에 대해 가스 시설 노후 여부를 정책적으로 진단하고 개선 작업을 지원해주는 것은 단순히 가스안전사고를 차단하는 의미 이외에도 에너지 복지이자 선진국형 사회적 배려인 것이 분명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