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가가 배럴당 90달러를 기록하며 정부가 ‘관심단계’를 발령한 것은 그만큼 국가 경제에 적신호가 될 수 있다는 해석의 방증이다.

소비자들 역시 기름값이 무서워 차 끌고 나오기가 어렵다고 말한다.

하지만 정작 기름을 만들거나 판매하는 정유사와 주유소도 난감하기는 마찬가지다.

주유소 간 이격거리 제한이 철폐된 후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주유소들 사이의 경쟁은 극에 달해 소비자 가격 기준 마진율은 5~6% 수준에 불과하고 이중 1.5%의 카드 수수료를 비롯해 인건비 등 고정비를 제하면 수익률은 1~2%대도 못 미친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정유사 역시 정유사업부문의 매출액 기준 영업이익률이 3~4% 수준에 그쳐 주요 상장사나 해외 메이저에 비해 형편없이 낮다고 울상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여론이나 소비자는 기름값의 책임을 정유사와 주유소에 떠넘기려고 하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처럼 기름가격이 철저하게 공개되고 있는 경우도 흔치 않다.

정부나 시민단체에서 정유사의 내수 판매 가격 산정기준이 되는 국제 석유가격과 환율의 변동 추이를 모니터링하며 워치독(Watchdog)하고 있고 전국 모든 주유소의 실시간 기름 판매 가격이 공개되고 있다.

사실상 발가벗겨진 셈이나 마찬가지로 에너지에 관심있는 소비자들은 이제 미래의 내수 석유가격 등락까지 전망할 수 있을 만큼의 정보를 제공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소비자시민모임 산하 석유시장감시단에서는 정부가 유류 탄력세율을 하향 조정해서 기름값을 낮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휘발유 소비자 가격 산정의 기초가 되는 국제 휘발유 가격 대비 국내 소비자들이 지불하는 세금 비중은 최저 142.9%에서 최대 152%로 세금 부담 비중이 과도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정유사나 주유소 모두 기름값 산정의 투명성은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가 애써 외면하고 있는 기름값의 과도한 세금 정보를 소비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하는 방식도 고민해볼 만 하다.

최근 일부 지역 주유소 사업자들이 기름의 세금 구조를 사업장내에 홍보하고 있는 것은 이런 면에서 시의적절한 시도라고 평가받을만 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