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매루트 막히고 가격 선도 힘 잃어 -

석유수입사들이 석유산업 자유화 이후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해 대구지역에서 촉발된 주유소의 상표위반 단속은 호남권과 제주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으로 확산돼 수많은 범법 주유소들을 양산하고 있다.

상표단속을 의식해 석유수입사 제품구매를 꺼려하는 주유소사업자들에게 소위 「리스크 비용」까지 부담할 수 밖에 없게된 석유수입사들은 정유사 현물제품과의 가격격차가 갈수록 확대되며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는 처지에 몰렸다.

실제로 지난해초만 해도 석유수입사들은 정유사의 현물제품가격보다 드럼당 1~2천원만 낮아도 충분히 판매처를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그 격차가 5천원선 이상까지 벌어지고 있지만 주유소 사업자들의 시선을 빼앗기가 쉽지 않다.

급기야 지난 4월에는 석유수입사들의 시장공급가격이 정유사 공장도가격보다 무려 3만원이 넘는 할인폭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냉담했다.

사상 유례없는 할인폭도 주유소사업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던 것.

일부 선발수입사들의 경우 현 시장에서는 팔면 팔수록 적자라며 직영주유소나 직매처 등에 한해 제한적으로 공급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달부터 할당관세품목으로 지정된 원유의 관세율이 2%p인하되면서 석유제품과의 관세격차는 더욱 커졌다.

석유수출입협회는 원유와 석유제품간의 가격격차가 최소한 리터당 5원 정도 더 벌어지게 됐다고 분석했다.

석유사업법 시행령 개정이 마무리되는 이달말경에는 원유수입부과금이 석유제품보다 리터당 4원 낮아지게 된다.

원유에 대한 관세와 석유수입부과금 인하조치로 인해 석유수입사들은 앉아서 리터당 9원 정도의 가격경쟁력을 잃게 되는 셈이다.

드럼으로 환산하면 1천8백원 정도가 추가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대대적인 상표표시 단속으로 기존에 비해 드럼당 3천원 이상을 추가 할인해서 판매하고 있는 석유수입사들은 제세부과금의 변동으로 또다시 떠앉게된 1천8백원까지 더해 모두 5천원 정도의 가격경쟁력을 잃게 되는 셈이다.

한 수입사 관계자는 『저장시설 운영비와 인건비 등 각종 고정비가 낭비되더라도 현 시장상황에서는 가만히 있는 것이 그나마 손실을 줄이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푸념했다.

석유부과금이 사전납부제로 변경될 경우 추가되는 자금운영부담 역시 골치다.

사전납부제로 변경될 경우 수입신고 이후 그 다음달 15일까지 납부토록 유예하고 있는 현재 시스템에 비해 부과금 납부기한이 약 30일정도 앞당겨지게 되고 결국 그만큼의 자금부담이 추가된다.

발등이 불이 떨어진 석유수입업계는 수출입협회를 중심으로 수입사들의 역할론을 앞세워 시민단체를 비롯한 일반 소비자 설득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수출입협회 김동철회장은 석유수입사가 등장하면서 석유산업에 가격경쟁체제가 도입됐고 그로 인해 약 2조원 정도의 국민부담 경감효과를 가져왔다는 민주당 김택기의원의 2001년 국정감사 발언을 근거로 『관세나 부과금이 석유제품에 차등적용될 경우 그에 대한 부담은 소비자들이 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주유소사업자들과의 파트너십 형성에도 정성을 쏟고 있다.

지난달 수출입협회는 전국 1만1천여 주유소사업자들 앞으로 우편물을 발송하며 현 상표표시제도의 부당함을 부각시키는 한편 수입사와 협력해 해결책을 모색하자고 호소했다.

관세와 부과금 차등화에 잇따라 성공하고 상표강화로 수혜를 입게 된 정유업계를 겨냥해 소비자와 유통사업자들과의 공감대 형성에 주력하며 뒤집기를 노리는 수입업계의 공세가 본격화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