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시장에서 테마주로 부상하고 투자자들이 몰리는 과열의 후폭풍은 결국 투자자들의 피해로 이어지게 될 판이다.

요약하면 이렇다.

바이오에너지를 육성하겠다는 정부 발표가 잇따랐고 그 원료가 금싸라기로 대접받자 석유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 원료를 자급하는데 한계가 뚜렷했던 바이오작물을 찾아 해외로 나가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다.

어떤 업체는 인도네시아에서 또 다른 업체는 말레이시아, 필리핀, 라오스 등에서 플랜테이션 사업을 벌인다고 발표했는데 세상 모든 일이 그렇 듯 양심 불량 업체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

지난 해부터 각종 중앙 언론에는 동남아에서 대규모 바이오작물 재배사업권을 확보했다는 업체들이 대대적인 광고를 통해 투자자들을 끌어 모았다.

농장을 불하받으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었는데 바이오에너지 열풍에 눈과 귀가 먼 투자자들은 열광했다.

그 끝은 이렇다.

인도네시아 한국대사관은 최근 지식경제부 등에 공문을 발송하고 바이오작물 재배 농장을 외국인이 소유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토지공개념이 정착돼 외국인들이 현지 토지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인데 어떻게 된 일인지 해외 농장을 분양하는 업체들과의 얘기가 서로 틀리다.

한마디로 해외 농장 분양은 사기인 셈이니 투자자들은 돈을 날리게 생겼다.

바이오작물을 테마로 사기로 의심되는 투자자 모집 행위가 얼마나 기승을 부렸으면 대사관에서 투자 유의 공문을 보냈을 정도다.

어떤 업체들은 ‘무슨 무슨 투자청’, ‘어떤 어떤 포럼’이라는 그럴 듯 한 명칭으로 위장하면서 까지 사기 분양에 나서고 있다.

가본 적도 없는 동남아 어느 시골의 농장을 덜컥 분양받겠다고 나서는 투자자의 어리석음만 탓하기에는 바이오에너지의 단편만을 부각시켜 보급 장려에만 목소리를 높이고 테마를 양산한 정부나 언론, 시민단체들도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 같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