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소업계가 사면초가의 위기다.

유류세가 인하될 때 마다 주유소 사업자들은 자신들의 배를 채우는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오해를 받고 있다.

신용카드 수수료나 상표표시제도 개선 같은 오래된 현안 문제는 그 어느 것 하나 시원스럽게 풀리는 것이 없다.

업친데 덮친 격으로 LPG 경차 허용이나 주유소 기름가격정보 공개 같은 악재만 생긴다.

하지만 전국 1만2000여 곳에 달하는 주유소 사업자들의 단결된 힘은 그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일단 결과가 그렇다.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에 또 소비자들의 일방적인 오해에 속수무책으로 방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부 현안을 두고는 상위 공급자인 정유사와 적이 되어 서로 으르렁거리고 있다.

이번 유류세 인하 효과만 해도 그렇다.

정유사와 주유소는 유류세 인하 효과가 소비자 가격에 어떻게 전달이 되는지 명쾌한 설명은 내놓지 못하고 서로에게 책임만 떠넘기는 모습이다.

주유소 가격 정보 공개와 관련해서는 정유사와 대리점의 가격도 공개하라고 주유소업계는 으름장을 놓고 있는데 현실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벌어지는 사안마다 논리가 부족하고 조직의 통일된 의견도 부족한 듯 보인다.

하지만 그럴만도 한 것이 주유소업계를 대변하며 대 정부 업무와 언론, 시민단체, 국회 등을 상대해야 하는 주유소협회 중앙회는 단 네 명의 직원이 관련 업무를 떠맡고 있다.

중앙회와 지방 지회간의 의견 조율도 쉽지 않아 보인다.

주유소 사업자들의 참여도 부족해 보인다.

협회가 잘 해야 회비도 잘 낼 수 있다는 회원사들과 회원사들의 참여가 보다 적극적이어야 협회가 더욱 발전할 수 있다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논란이 여전하다.

주유소 업계가 스스로의 생존권을 확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익 대변 단체인 협회의 위상이 강화되고 시스템이 정비돼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회원사들은 협회에 힘을 몰아 줘야 하고 회원사들의 생존권을 어깨에 멘 협회 단체장이나 임직원들은 자신의 고집이나 입장만을 강요하지 말고 회원사 전체의 눈높이에서 현안을 바라 봐야 한다.

언제쯤 주유소 사업자들이 협회를 믿고 지방 조직은 중앙회에 더 큰 힘을 실어 주며 통일되고 단합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지 걱정이 앞선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