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와 경유 등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석유제품의 품질불합격율은 2000년대 이후 줄곧 1% 미만의 수준을 보여 왔다.

하지만 2002년 첫 법정 품질단속 대상에 포함됐던 충전소 단계의 LPG는 그간 석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품질불합격율을 보여 왔고 소비자들의 불신을 받아 왔다.

석유제품과 마찬가지로 세금 차액을 노려 프로판을 부탄에 과다 혼입하는 방식의 불법행위로 소비자들은 제 값을 치르고도 불량 LPG를 충전받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다.

길거리에서 판매되는 유사석유는 소비자들이 인지한 상태에서 스스로의 판단으로 구매하는 것이지만 주유소 등에서 속고 불량제품을 사용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하지만 주유소와 충전소 단계의 품질 불합격율이 처음으로 모두 1% 미만을 유지하고 있어 그만큼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보호받을 수 있어 다행이다.

물론 품질불합격율이 줄어든다고 유사 석유의 유통량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최근 모 공중파 방송에서는 경남 마산의 한 충전소에서 지난해 11월 이후 두달이 넘도록 부탄에 프로판을 임의로 섞은 연료를 판매하며 5600여만원 정도의 부당이득을 취하다 적발됐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 충전소는 자정이 넘은 심야 시간대에 부탄 저장탱크에 탱크로리로 프로판을 직접 주입하는 등 불법 LPG를 사업자 스스로가 제조해왔지만 지난해 품질검사에서는 적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탈루를 노린 불량 연료 유통업자들의 불법행위가 교묘하게 지능화되고 있어 단속망을 피해 가는 사례들도 없지 않아 보인다.

또 한편으로는 적발을 감수하고 상습적으로 유사석유를 유통하는 사업자들이 한탕 하는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하지만 불합격율 감소라는 통계가 주는 의미 까지 축소될 필요는 없다.

석유품질관리원과 가스안전공사가 주유소와 충전소에 대한 품질단속의 빈도수를 해마다 늘리고 있고 비노출검사차량 등 첨단 단속기법을 동원하면서 품질 불합격율이 줄어 들고 있는데 이같은 현상은 유사석유를 제조하려는 사업자들의 ‘불량스러운 시도’가 그만큼 위축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남은 문제는 강력한 단속과 처벌까지 감수하면서까지 한 탕 하겠다는 악질적이고 상습적인 불량 사업자들을 어떻게 솎아 낼 것인가에 달려 있다.

유사석유 제조와 유통행위가 갈수록 지능화되고 은밀해지는 만큼 단속기관인 석유품질관리원과 가스안전공사가 더 부지런하고 영악해지며 첨단 장비와 기술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긍정적인 성과에도 이들 기관의 책임은 더욱 무거워지게 생겼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