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대체연료이자 신재생에너지의 한 축인 바이오연료를 두고 시끄럽다.

아시아 최초로 상용화했고 모든 정유사에서 경유에 일괄 혼합해 공급하는 것은 세계 최초로 정부의 자랑꺼리인 바이오디젤은 코스닥 등록 기업들의 각종 부정과 불법으로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코스닥 등록기업으로 바이오디젤 사업 진출을 선언한 모 기업은 심각한 경영권 분쟁을 겪으면서 임원들의 횡령 혐의 등으로 고소 고발이 끊이지 않았고 최근에는 불성실공시 법인으로까지 지정됐다.

바이오디젤 공장 설계와 신축공사 계약을 수주했다던 공시가 최근 취소되는 등의 말썽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모 바이오디젤 생산업체를 인수하며 경영권을 확보한 또 다른 코스닥 기업은 한때 자본잠식으로 코스닥 퇴출 위기를 겪었고 주가조작과 허위 공시 등을 이유로 경영진이 구속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투자유의보까지 내려진 상태다.

바이오디젤사업 진출을 선언하고 한 바이오디젤 생산업체와 경영컨설팅 등과 관련한 협약을 맺기도 한 또 다른 코스닥기업은 경영진의 횡령 등으로 검찰이 수사중에 있다.

언제 보급이 이뤄질지조차 알 수 없는 바이오에탄올 시장은 더 복마전 양상을 띄고 있다.

자동차용 연료로 판매가 불가능한 상황인데도 에너지와 무관한 코스닥 기업들의 진출이 줄을 잇고 있고 입만 떼면 해외에 대규모의 바이오에탄올 제조 농장을 무상으로 확보했다고 떠들고 있다.

이에 대해 주무부서인 산업자원부측은 외국 정부에서 기업들에게 무상 임대해주는 사례가 없다고 단언하고 있으니 이 말이 사실이라면 바이오에탄올 기업들의 대다수는 거짓말을 하고 있는 셈이다.

유사석유를 제조하면서 천문학적인 세금을 탈루한 모 기업도 바이오에탄올 사업에 가세했다.

이 회사는 중국의 지방정부 등을 통해 바이오에탄올 제조허가를 받았고 원료 재배 농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는데 사실무근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산업자원부에 등록된 바이오디젤 생산사는 9곳에 달하지만 실제로 정유사와 납품계약을 맺고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는 회사는 4곳에 불과하다.

바이오에탄올은 아예 자동차용 연료로 생산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개미투자자만 봉변 = ‘뉴스를 과신 말고 기사는 행간을 읽어라‘는 증권 격언이 있다.

같은 내용의 뉴스라도 기자나 언론사의 입장 또는 시각에 따라 사실이 제대로 전달될 수 없을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시장분위기에 도취되지 말라’는 증권 격언도 있다.

주식시장의 분위기가 불합리한 인간의 심리나 단면적인 투자 판단을 좌우할 수 있다는 의미로 보다 객관적이고 냉정한 판단이 요구된다는 뜻이다.

바이오에너지와 관련한 주식시장의 분위기는 온통 주가 상승을 알리는 ‘적색’ 일색이다.

개미 투자자들은 불행하게도 뉴스를 과신하고 기사의 행간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적색 일색의 분위기에 금새 취할 만큼 순진하다.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맹목적인 예찬론은 투자자들을 과신하게 만드는 뉴스 생산의 재료가 되고 적색 일색의 시장분위기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현 상황에 대한 정부의 책임이 자유로울 수 없다.

바이오에너지 시장의 과열양상이 심각해지면서 올해 초 산업자원부는 ‘투자 유의’를 당부하는 보도자료를 계획했지만 백지화시켰다.

정부 스스로도 그 심각성을 느끼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면서도 한 편으로는 바이오에너지의 확대보급에 대해 확정되지 않은 소식을 여전히 남발하고 있다.

‘소비자가 수용하면’, ‘실증사업이 진행중이니’, ‘범 정부 차원에서 원료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고민하고 있으니’ 등등 언제 어떻게 이뤄질지도 모르는 막연한 표현을 써가며 ‘이런 조건들이 충족되면 상용화가 되고 확대 보급이 이뤄질 것’이라고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고 기업들은 정부 발표를 인용하며 그 행간의 의미를 읽을 줄 모르는 투자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소비자 수용성’이라는 표현 안에는 바이오에너지의 낮은 가격경쟁력을 세금으로 해결하지 않고 소비자 가격에 전가시킬 수도 있다는 의미가 숨어 있다.

‘실증사업’의 결과가 도출되고 운좋게 상용화된다고 해도 몇 년이 걸릴지도 모를 일이다.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5% 혼합할 수 있는 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내 모든 동계(冬季) 유휴지에 유채유를 재배해도 모자란다.

어느 것 하나 확실한 것이 없는데도 바이오에너지의 확대보급을 고유가를 해결할 전가의 보도처럼 휘두르고 있다.

시장에 바이오 테마가 넘쳐 나고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는데도 정부가 민간기업의 일에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느냐며 뒷짐만 지고 있다.

시장을 만든 주체가 정부이면 그 책임도 정부가 져야 하는데도 말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