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우리나라는 특정 지역에 석탄 및 원전시설이 밀집돼 있다. 이 때문에 환경오염이나 송전설비 건설을 두고 지역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더군다나 이 지역들이 전력자급률이 낮은 서울이나 대도시를 위해 모든 희생을 짊어지는 셈이니 주민들은 허탈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충남지역은 200%가 넘는 전력자립도를 기록, 지역 내 전력소비량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을 서울이나 대전 등 타 지역에 보내주고 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수도권의 낮은 전력자급률로 인해 지방지역 소비자들이 그 부담을 고스란히 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신정훈 의원이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서울, 경기지역의 전력자급률은 올해 상반기 기준 각각 12.7%, 64.3%에 불과했다.

특히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첨단산업이 전력자급률이 낮은 수도권에 집중돼 전력계통 비용은 상승하고 총괄원가에 반영돼 수도권은 물론 비수도권 지방의 전기소비자들에게도 그 비용이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 

신 의원은 이러한 지역별 전력소비와 생산의 불균형은 특정지역에만 발전시설을 집중시켜 희생을 강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경제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산에너지, 즉 열병합발전소 설치를 유도하고 있다. 

열병합발전은 에너지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열은 인근 아파트, 빌딩 등의 난방열 혹은 산업체(공장)의 공정용으로 소비자에게 직접 공급되며, 전기는 전력거래소에 판매하게 된다. 

현재 LNG 열병합발전소 건설이 추진되는 곳곳마다 거세지는 지역주민 반대 민원과 환경단체 집회에 지자체와 사업자들은 곤욕을 치르고 있다. 이는 탄소중립으로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지역 주민들의 당연한 권리일 수 있다. 

아무리 친환경 발전소라 하더라도 거주지 인근에 발전소가 들어선다면 환영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석탄발전과 원전시설이 집중된 비 수도권, 특정지역 소비자들에게 언제까지 희생을 강요할 수 있을까. 분산에너지 확대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시기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