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대비 38% 줄어, 시멘트제조 밀집 강원 뒤이어

전국 648개 대형사업장 배출물질도 전년대비 26% 감소

허용기준 강화, 자발적 감축 협약,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영향 커

환경부 ‘오염총량제 유연성 높이는 등 비용효과적 정책 발굴키로'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환경부가 굴뚝 ’자동측정기기(TMS)’가 부착된 전국 648개 대형사업장의 2020년 연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를 분석했는데 총 20만 5,091톤으로 2019년 대비 26%에 해당되는 7만2,604톤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통계는 전국 대형사업장(1~3종) 4,104개 중 굴뚝 자동측정기기가 부착된 648개 사업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 총 7종의 연간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다.

분석 대기 오염 물질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먼지, 불화수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염화수소인데 지난 해 분석에서 질소산화물이 71%에 해당되는 14만 5,934톤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황산화물 5만 1,706톤(25%), 먼지 4,577톤(2%), 일산화탄소 2,284톤(1%)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2019년과 비교하면 미세먼지 주요 원인물질인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은 20만 2,218톤으로 2019년 대비 26% 줄며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는 사업장 배출허용기준 강화,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 신설, 대형 사업장 자발적 감축 협약 확대 등 정책 효과와 경기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환경부는 지난 해 1월 이후 사업장 배출허용기준을 평균 30% 강화했고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을 신설해 현재까지 124억원을 부과했다.

대형사업장 자발적 감축 협약도 확대되면서 2019년 111곳 이던 것이 지난 해에는 343곳으로 늘었다.

업종별로는 발전업에서 총 배출량의 38%에 해당되는 7만7,936톤이 발생하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시멘트제조업이 25%에 해당되는 5만295톤, 제철제강업 4만 4,491톤(22%), 석유화학제품업 1만 8,911톤(9%) 순으로 나타났다.

2019년 발생량과 비교하면 발전업에서 3만4,282톤, 제철제강업 1만3,380톤, 시멘트제조업 1만3,292톤, 석유화학제품업 8,021톤 순으로 감소했다.

특히 발전업은 계절관리제 시행과 발전량 감소에 따른 석탄 사용량 감소, 제철제강업은 방지시설 개선 등이 배출량 감소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추정됐다.

시도별로는 충청남도 지역이 전체 배출량의 18%에 해당되는 3만 6,693톤을 기록했고 강원도 3만 6,285톤(18%), 전라남도 3만 3,599톤(16%), 충청북도 2만 367톤(10%), 경상북도 1만 8,581톤(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대비 감소량은 충남지역이 38%에 해당되는 2만 2,082톤으로 가장 컸고 강원 1만 3,083톤, 경남 1만 2,208톤, 전남 6,555톤 순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충남지역은 발전업과 제철제강업이 많고 강원은 시멘트제조업이 밀집되어 있으며 경남과 전남은 제철제강업과 석유화학제품업이 입지하는 등 지역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환경부는 오염물질 배출량 상위 업종인 발전, 시멘트, 제조, 석유정제업의 배출량 상위 22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오염물질 감축 유인 정책은 배출허용기준 강화, 자발적 감축 협약,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 부과, 오염물질 측정농도 공개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오염물질 저감방법은 방지시설의 교체 또는 신설, 연료 교체 및 대체 연료 사용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환경부 김승희 대기환경정책관은 “환경부의 대기오염물질 감축 정책과 대형 사업장의 적극적인 감축 노력으로 대기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감축하고 있다”며 “앞으로 대기오염총량제 유연성을 높이는 등 비용효과적인 감축정책을 발굴․보완하는 한편 영세 사업장 대상 방지시설 설치 지원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