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첫 번째 에너지’ 위한 비전 보고

수소차·수소충전소·연료전지 보급 2년 연속 세계 3관왕 기록

청정수소 중심 수소경제로 전환, 2050년 청정수소 100% 달성

정부의 청정수소 보급확대 비전(‘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 보고서 발췌)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우리나라가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보급속도, 연료전지 보급에 2년 연속 세계 3관왕을 기록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수소,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첫 번째 에너지’가 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고 청정수소 중심 수소경제로 전환한다는 비전도 밝혔다.

정부는 7일 차세대 연료전지 특화단지, 국내 최대 규모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 등 수소경제 핵심거점으로 자리 잡은 인천에서 ‘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는 정부를 비롯해 지자체와 공기업, 유관기관을 비롯해 수소 생산부터 저장·운송, 활용 등 수소경제 관련 기업들이 모두 참여해 수소선도국가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힘을 모았다.

◇ 수소차 보급 등 2년 연속 세계 3관왕 기록 성과

정부는 지난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이후 수소경제 성과에 대해 발표했다.

그동안 세계 최초로 수소법이 제정됐고 R&D·인프라·수소차·충전소·안전·표준 등 6대 분야별 정책이 마련됐으며 수소경제위원회 출범 등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수소차·수소충전소·연료전지 보급에 2년 연속 세계 3관왕을 기록했으며 트램, 화물·청소트럭, 지게차 등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를 실증 중에 있는 등 수소경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또한 수소트럭·차량용 수소연료전지시스템, 발전용 연료전지 등 수소 관련 신제품을 수출하는 쾌거도 이뤄 수소산업이 미래 유망 수출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토대도 마련됐다.

이같은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민간기업도 청정수소 생산과 액화수소 생산·유통, 수소연료전지와 다양한 수소모빌리티 보급 확대 등에 2030년까지 약 43조원+α 규모의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다만 수소차·연료전지 중심으로 한 생태계 구축 초기 단계로 수소경제를 넘어 청정수소경제 선도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생산·유통·활용 전주기 생태계가 동시에 구축될 필요가 있다.

◇ ‘수소,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첫 번째 에너지’ 비전 보고
 
정부는 이날 ‘수소,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첫 번째 에너지’를 위한 비전을 발표했다.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을 주도하고, 빈틈없는 인프라를 구축하며, 모든 일상에서 수소활용하고, 생태계 기반을 강화하는 등 속도감 있게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축한다.

수소사용량을 현재 22만톤 수준에서 2030년 수소경제 로드맵 보다 두배 늘어난 390만톤으로 확대하고, 2050년에는 2,700만톤까지 확대한다.

정부는 청정수소 비율을 2030년 50%, 2050년에는 100%로 높여간다.

국내 청정수소 2050년 500만톤 생산비전(‘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 보고서 발췌)

청정수소 중심 수소경제로의 빠른 전환을 위해 향후 실증 지원 등을 통해 국내 청정수소 생산을 본격화한다.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을 가속화하고, 국내외 탄소저장소를 확보해 이산화탄소가 없는 청정 블루수소 생산을 확대한다.

우리나라가 주도해 글로벌 수소공급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수소 자급률을 높이는 한편 에너지 안보를 강화해 나간다.

청정수소를 다방면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강력하고 빈틈없는 수소인프라를 구축한다.

‘K-조선’ 강점을 활용해 암모니아 추진선 ·액화수소 운반선 등을 조기에 상용화하고, 수소항만을 조성해 원활한 해외수소 도입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수소차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는 전국 충전망을 구축하고, 기체수소 대비 경제적이고 안전한 액화수소 인프라 및 주요 거점별 수소배관을 구축해 대규모 청정수소 유통망을 활성화한다.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모든 일상에 수소 활용을 적극 확대해 나간다.

최고의 연료전지 기술을 활용해 현재의 수소차 초격차를 유지하는 한편 열차·선박·UAM·건설기계 등 다양한 모빌리티로 적용을 확대한다.

현재의 수소연료전지 발전에 더해 수소터빈(혼소·전소), 석탄 암모니아 혼소 등 수소발전을 확대해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청정수소 발전 의무화(CHPS)제도 도입을 위한 수소법 개정안이 국회 심의중이다.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산업분야 수소활용을 적극 확대하고 탄소중립 공정을 실현해 친환경 산업구조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글로벌 수소 공급망 구축 비전(‘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 보고서 발췌)

기업과 정부간 협력으로 수소경제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한다.

민간이 계획하고 있는 대규모 투자가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정부가 R&D·세제·금융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한다.

수소전문 대학원·대학교 과정 신설, 업종전환 재교육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양질의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하고, 규제샌드박스를 활용한 우선 실증 등으로 선제적인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수소경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주도의 ‘국제 수소이니셔티브’를 추진해 글로벌 청정수소경제를 선도해 나간다.

정부는 이날 발표된 ‘수소선도국가 비전’을 ‘수소경제이행기본계획’에 담아 오는 11월중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 개최를 통해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