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도시가스사들의 상반기 순이익 증가율이 6%에서 35%에 이른다.

전반적인 경제성장률 둔화 속에서 도시가스사들의 분발은 박수를 받을 만 하다.

더구나 20년 이상 이어져 온 완전 성숙기에 접어든 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도시가스사들의 순이익 증가는 그 동안 기울인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라 하겠다.

수익 증가에 힘입어 직원들의 급여 지급액도 크게 늘어났다.

대한도시가스, 부산도시가스, 서울도시가스 등 3사는 국내 상장기업 가운데 상반기 급여 지급액이 20위권 내에 포진되는 호사를 누렸다.

도시가스사들 직원들도 전통적으로 고액 연봉을 받아온 것으로 알려진 SK, GS 등 정유사와 계열사인 SK가스, E1 등 LPG수입사 종업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기업이 수익율을 높이고 직원들과 이윤을 공유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한 가지 생각해 볼만한 문제가 있다.

정유사나 LPG수입사들은 비록 독과점체제이긴 하지만 나름대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며 성장해 온 기업들이다.

반면 도시가스사들은 지역독점체제의 혜택을 보고 있다는 꼬리표가 아직까지 따라다닌다.

회사가 높은 수익을 올려 직원들이 고액 연봉자로 뉴스를 탈 때마다 산업이 갖고 있는 특징이 구조적인 문제로 부각돼 외부의 공격을 받을만한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경실련 등 시민단체의 요금반환소송 등이 대표적이다.

산자부가 10개 지역에 대해 집단에너지 공급대상지역 지정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도시가스사들이 대부분 반대의사를 밝혔다.

중복투자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발생에 대한 우려와 취사용 연료만을 위한 도시가스 공급이 불가능하다는 시각에서다.

국가 네트워크산업을 이끌고 있는 대표 기업으로써 도시가스사들의 논리가 업계의 이윤추구와 더불어 국가 에너지산업과 이해관계자들의 공동발전에 근본을 둔 것이라는 점이 더욱 부각돼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