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우리 정부는 도심 대기 환경 개선을 위해 천연가스 차량 보급에 열을 올렸다.

도심 경유 버스를 CNG 버스로 교체 전환하겠다며 정부 자금을 투입했고 서울시청 안에 CNG 충전소를 구축하기도 했다.

경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정한 CNG 버스 전환으로 서울시 미세먼지가 2000년 65㎍에서 2012년 42㎍으로 감소했다고도 홍보했다.

천연가스 연료를 앞세운 대기 개선 홍보는 버스를 넘어 청소차, 택시까지 확대됐고 대구의 경우 CNG 택시 개조 시범 사업 지역으로 선정되며 국비 등을 지원받기도 했다.

도심 대기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해 정부는 노후경유차 개선 사업도 진행중인데 대표적인 사업중 하나가 LPG 엔진으로의 교체이다.

정부는 지난 해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 계획’의 일환으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확대’에 과감하게 재정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는데 LPG 차량도 여러 차례 언급되어 있다.

해당 로드맵에 따르면 2024년까지 노후경유차를 모두 퇴출하겠다는 정책 목표 아래 LPG 엔진 교체 등을 추진하고 1톤 트럭과 어린이 통학차량을 LPG차량으로 교체 지원하는 예산을 확대한다.

실제로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로드맵에 따르면 당초 2024년까지 5만5천대를 보급하겠다던 1톤 트럭 LPG 전환은 13만5천대로 확대 제시됐다.

어린이 통학차 LPG 전환도 당초의 3만4천대에서 8만8천대로 늘려 잡았다.

도심을 누비는 1톤 트럭이나 어린이를 실어 나르는 통학차에 LPG 엔진을 장려한 것은 그만큼의 환경 친화성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부의 친환경 수송 정책은 바로 그 정부의 전기·수소차 확대 정책에 압도당하고 있다.

매년 천문학적 예산을 투입해 일반 승용차는 물론이고 버스, 화물차 등 차종을 가리지 않고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고 있는데 그 사이 막대한 예산이 지원된 친환경 천연가스·LPG 차량은 뒷전으로 밀려나거나 설 자리가 좁아 지고 있다.

실제로 서울을 비롯한 부산과 대구, 인천, 대전 등 광역시에서는 그동안 친환경 차량으로 선전하던 CNG버스가 전기버스로 대체되고 있다.

정부가 환경친화적이라며 CNG차량을 확대 보급하는 과정에서 민간에서는 CNG충전소 건설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는데 현재는 적자가 발생해 문을 닫는 곳도 생겨나고 있다.

불과 한 해 전에 LPG 차량 확대 보급 계획을 밝혀놓고도 정부는 LPG화물차와 어린이통학차 전환사업의 내년 예산을 대폭 축소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LPG 차량 소유 제한을 없애고 친환경 LPG차로의 전환을 확대하겠다는 정부 정책을 믿고 신차를 개발하고 엔진 개조에 기대를 걸던 사업자들은 제대로 골탕을 먹고 있다.

정부는 부처를 가리지 않고 전기차와 수소차 확대 보급에 매몰되어 예산과 지원책을 쏟아 내고 있다.

전기·수소차가 친환경 모빌리티라는 점은 이론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전기나 수소 연료를 생산하는 과정까지 환경 친화적인가, 안정적인 수급은 담보할 수 있는가, 가격 경쟁력은 확보 가능한가, 수십조원에 달하는 수송 유류세원의 전환은 어떻게 이룰 것인가 등 다양한 과제가 남아 있다.

그래서 포트폴리오 정책이 필요하고 전기·수소차가 주력 수송 수단으로 정착할 수 있을때 까지 천연가스나 LPG 차량도 중용돼야 한다.

그런데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정책은 스스로 눈 가리개를 하고 다른 방향은 전혀 돌아 보지 않으며 전기·수소차 보급 목표 달성만 쫓아가는 경주마같아 보여 위태로워 보인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