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 구조조정 양상 달라지는 석유유통산업, 해법 없나?①]

과포화로 경쟁은 치열·석유 수요는 정체, 구조조정 속으로

전기·수소차 등 그린모빌리티 전환 가속, 주유소 존재감 줄어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주유소가 급증하면서 택시처럼 정부가 나서 총량을 규제해달라고 요구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매년 수백 곳의 주유소들이 사라지는 구조조정 시대로 돌아 섰다.

파이는 줄어드는데 주유소는 여전히 많으니 경쟁에서 뒤쳐진 곳들은 자연스럽게 도태되고 있는데 일본은 우리보다 먼저 구조조정을 겪고 있다.

그런데 더욱 심각한 것은 우리나라 일본 모두 석유 유통 산업 재편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기·수소차 보급이 확산되면서 내연기관차의 연료를 유통시키는 주유소 효용이 감소하고 그 결과 퇴출되는 수순이 점쳐지고 있다.

회피할 수 없는 환경 변화 속에 정유사와 주유소 사업자들은 그린모빌리티 전성시대를 대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중이다.

그 한편에서는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정부는 알뜰주유소로 석유 유통 시장에 직접 개입중인데 이어 수송에너지 전환 같은 정책의 결과물로 석유 유통 시장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되고 있으니 정부도 일정 부분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 ‘정의로운 전환’의 핵심이다.

◇ 한 때 넘쳤던 주유소, 이제는 줄어야 사는 주유소

택시는 정부가 운행 댓수 총량을 정해 관리하고 있다.

전국 지자체별로 인구 수와 택시 댓수를 감안한 적정 총량을 산정하고 그 상한을 넘지 못하도록 정부가 관리하고 있다.

‘택시운송사업발전법’에서는 총량제를 넘어선 택시의 감차 예산을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근거도 마련되어 있다.

공급 과잉으로 택시 경영이 어려워지는 환경 등을 감안한 조치였는데 한 때 주유소업계도 택시처럼 ‘총량제’를 도입하자고 정부에 공식 요청했을 만큼 차고 넘쳤던 시절이 있었다.

주유소 사업자단체인 한국주유소협회는 지난 2010년 정부가 주최한 ‘석유산업 발전전략 워크샵’에서 주유소의 급격한 증가 속에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는 환경을 감안해 택시처럼 정부가 총량제로 관리, 운영해달라고 주문했다.

그 해 전국 주유소 수는 1만3000곳을 넘으며 건국 이래 최고를 찍었다.

비 온 후 죽순 솟아나는 양 마냥 늘기만 하던 주유소는 하지만 이후 감소세로 반전됐고 현재까지 매년 수백곳씩 문을 닫고 있다.

사실 주유소나 LPG충전소 구조조정은 시장 경쟁의 당연한 결과물이다.

허가제인데다 주유소간 거리를 제한하는 등의 장벽으로 신규 진입이 제한되던 시절, 주유소와 LPG충전소는 금맥이나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등록제로 전환되고 거리제한이 폐지되는 규제 완화로 빗장이 풀리면서 그 수는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그 끝에는 뼈를 깎는 출혈 경쟁이 기다리고 있었다.

실제로 1980년 우리나라 전체 주유소는 1465곳에 불과했는데 급속하게 증가 추세를 보였고 2010년에는 1만3004 곳까지 늘었다.

석유소비가 정체되고 주유소는 늘어나니 경쟁에서 도태되는 곳들은 문을 닫기 마련이고 이후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진입하고 있다.

그런데 시장 경쟁에 기인한 구조조정 보다 더 가혹한 석유 유통 산업의 재편이 예고되고 있다.

전기차, 수소차 같은 그린모빌리티 보급이 확산되면서 화석연료를 공급하는 주유소의 필요가 희박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제주도내 주유소들이 2017년 매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030년에 13곳만 살아 남게 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제주도 의뢰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제주도내 LPG 충전소는 모두 사라지고 주유소도 93%가 없어지게 될 것이라는 전망인데 그린모빌리티 확산세와 맞물려 내륙 환경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