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인센티브 정책에 바이오에너지 연간 160% 급격한 성장

기후솔루션 김수진 연구원, 원료 수입 의존…현지 환경법 등 위반

대규모 산림파괴‧생물 다양성 위협…‘지속가능성과 수입량 제한 등 필요’

기후솔루션과 환경운동연합, 공익법센터 어필이 ‘아시아 바이오에너지 무역과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개최한 온라인 세미나에서 기후솔루션 김수진 선임연구원이 발제하고 있는 모습.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한국에서 바이오에너지는 청정에너지로 인식되고 있지만 바이오에너지 기업들이 해외에서 수입해오는 원료는 오히려 환경을 파괴하고 국제 협의를 위반하고 있어 재 해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과 환경운동연합, 공익법센터 어필은 24일 ‘아시아 바이오에너지 무역과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

발제자로 나선 기후솔루션 김수진 선임연구원은 ‘대한민국 바이오에너지 무역과 생산지의 공급망 위험요소 개괄’이라는 주제로 한국의 바이오에너지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의 바이오에너지는 초기 단계로 지난 8년간 정부의 정책과 인센티브 덕분에 연간 160%씩 급격하게 성장해 왔다.

하지만 바이오에너지 생산 원료인 바이오매스는 90%, 바이오연료는 60%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 연구원은 한국의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업이나 수입업자 모두 지속가능성이나 수입량 제한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국에서 바이오에너지는 주로 녹색과 탄소중립으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이처럼 바이오에너지는 청정연료라는 신화가 널리 퍼져 있어 바이오에너지 공급망 위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분석했다.

또한 김 연구원은 한국의 바이오에너지 생산자나 무역업자들이 원료를 수입하는 나라의 현지 환경법이나 인권 또는 국제 협약을 위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바이오에너지의 주원료인 목재펠릿과 팜유 등을 생산하는 원산지인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에서 오랫동안 토지독점과 대규모 산림파괴, 토착민 권리 침해와 같은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

이에 대해 김수진 연구원은 “탄소를 풍부하게 포집하는 나무를 벌목해 바이오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온실가스 배출량을 늘리고 우리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위협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정책의 당초 목적에 역행한다”며 “원료의 지속가능성이나 수입량 제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국내외 과학자 500여명은 공동으로 한국, 미국, 일본, 유럽연합 정상에게 바이오에너지가 화석연료의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 성명서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