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8.2GW 조성, ‘세계 신규 설치 1/3’ 주장 일어

산업부, 2010년~2019년 세계 연평균 28.7% 설치 증가

2030년 누적 보급 177GW 전망, 신안은 4.6%에 불과

태양광 보다 이용률 두 배 이상, 설비 기준 전력 생산 더 많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5일 신안에서 열린 해상 풍력 협약식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청와대)

[지앤이타임즈 정상필 기자]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오는 2030년까지 전남 신안에 48조5천억원을 투입해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한다고 선언한 가운데 현실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한계로 지적되는 간헐성 이슈도 도마위에 오르고 있는데 정부는 해상풍력의 경제성이 높다며 꾸준히 확대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정부는 지난 5일 신안군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세계 최대 해상풍력단지 48조 투자협약식, 바람이 분다' 협약식을 열었다.

이날 협약에는 정부를 대표한 한전, 민간 측에서는 SK E&S, 한화건설, 두산중공업, 씨에스윈드 등이 참여해 오는 2030년까지 설비 용량 8.2GW 규모의 해상 풍력 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계획대로 추진되면 1GW급 원전 8기 설비 용량에 해당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설비가 들어서게 되는데 우리 정부가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해상풍력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신안 해상 풍력이 2030년까지 전 세계에 신규로 설치되는 해상풍력 설비의 약 1/3에 달하는 규모라고 지적하고 있다.

신안 이외에도 전북 서남권, 울산․동남권에서 추진되는 해상풍력을 포함하면 세계 신규 해상풍력의 3분의 2가 우리나라에 건설될 만큼 정부 목표의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기상 여건에 따라 발전량이 변동되는 해상풍력의 간헐성 한계도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해상 풍력 확대가 세계적인 흐름으로 석탄화력 보다 발전량이 더 높아질 것이라는 국제 기구의 전망 등을 제시하며 확대 보급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 환경 영향도 낮아 에너지 전환 주요 수단으로 부각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 세계 해상풍력은 2019년말기준 유럽, 중국을 중심으로 29.1GW 규모가 설치됐다.

2010년 이후 2019년까지 10년 동안 연평균 28.7%의 높은 설치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2030년 해상풍력 누적 보급규모가 177GW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는 해외 전문가들의 분석도 소개했다.

이 같은 전망을 전제로 8.2GW 규모의 신안 해상 풍력은 2030년 세계 누적 보급 전망치의 약 4.6% 수준에 그친다는 것이 산업부의 설명이다.

세계 신규 해상 풍력의 1/3 규모가 신안에서 추진된다는 일부 지적과 정면 배치되는 해석이다.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에 근거해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목표로 삼는 해상풍력 12GW 규모가 실현돼도 세계 누적 보급 전망치의 약 6.8%에 불과하다고 산업부는 덧붙였다.

태양광·풍력 발전 등 재생에너지 발전의 간헐성 한계는 인정하면서도 태양광에 비해 해상 풍력이 우위에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태양광은 약 15%의 이용률을 보이는데 반해 해상풍력은 30% 이상의 이용률을 기록해 이용률 측면에서 2배 이상 우수한 에너지원이라는 설명이다.

이를 근거로 동일 설비 용량 설치를 기준으로 태양광보다 해상풍력의 전력 생산량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해상풍력은 높은 잠재량, 대규모 단지 개발 가능성, 낮은 환경영향, 30~50%에 달하는 높은 이용률 등의 장점 때문에 국내외에서 에너지전환을 위한 주요 재생에너지원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역시 유럽의 경우 2040년부터 해상풍력이 화력발전을 제치고 발전량 기준 1위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전망할 정도이며 우리나라도 해상풍력 발전의 장점들을 감안해 해상풍력 보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