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반보일러와 콘덴싱보일러의 효율등급에 따른 제조업체들의 거센 항의가 빗발치면서 에너지관리공단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공단이 효율관리기자재의 운영에 관한 규정과 관련해 가정용 가스보일러 에너지소비효율 등급표시 기준개정안에 새롭게 대기전력을 추가하면서 관련 업체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굳이 고유가 시대가 아니더라도 소비자들은 고효율 보일러를 선호하는 것이 분명하고 소비효율 1등급을 받기 위한 제조업체들의 노력도 필사적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고효율이냐 그렇지 않느냐가 정부의 정책적 기준과 지표에 의해서 구분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산자부나 에너지관리공단의 동향에 관련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에는 보일러 시장의 특이한 구조도 한 몫하고 있다.

‘빅 쓰리‘라고 불리는 세 곳의 보일러 업체가 생산하는 제품들은 그 구조가 다르고 이 때문에 정부의 정책적 변화가 각각의 기업에는 유불리가 확실하게 된다.

보일러 메이저 업체들의 목소리가 크고 시장 주도권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만큼 정부 정책은 조심스럽고 신중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행정당국이 에너지효율등급 등과 관련한 정책을 고민하면서 여러 차례 번복하고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경험했던 관련 업체들로서는 그 과정에 대한 신뢰나 결과에 대한 합의를 하기가 좀 처럼 어려운 듯 싶다.

일반형과 콘덴싱 보일러의 효율 등급 일원화 문제가 논란이 됐던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논의 초기에 에너지관리공단은 이들 두 제품의 효율등급을 일원화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원화 원칙으로 수정했다.

이에 대해 에너지관리공단측은 콘덴싱보일러가 일반보일러에 비해 내수나 수출시장에서 현저히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효율등급을 일원화할 경우 보일러 시장의 판매저하가 우려된다며 콘덴싱보일러가 활성화 된 이후에 등급을 일원화해도 무방하다는 입장이다.

에너지관리공단의 설명은 나름대로 충분한 설득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관련 업계의 이해관계가 분명하고 첨예한 사안에 대해 이리 저리 입장을 바꾸는 과정은 결국 공단의 신뢰도까지 의심받게 만들고 있다.

신중하지만 지루하지 않고 정확한 결단을 내리는 지혜가 그 어느때보다 필요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