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호 의원, 해외선진국과 비교 생산방식·수입전략 미흡
채희봉 사장, 향후 ‘CO₂ 프리 수소’ 대대적 확산 기대

▲ 국회 산업위 정태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관악을)이 질의하는 모습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정부가 세계 수소경제 활성화를 선도한다고 발표했으나 LNG 추출방식이 아닌 수전해 생산 방식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미흡하며, 수소 수입 대응책 역시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 국감에서 나왔다.

이에 한국가스공사 채희봉 사장은 해외 프로젝트 추진단을 별도로 구성할 계획이며, 재생에너지 연계의 수전해 수소 방식 도입에도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20일 열린 한국가스공사 국정감사에서 산업위 정태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관악을)은 정부에서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에서 가스공사는 유통과 생산을 책임진다고 했지만 생산부문에 있어 책임이 모호한 면이 있다고 발언했다.

정 위원은 “가장 큰 관심사는 수소의 생산방식인데 로드맵에 따르면 2022년까지 연간 47만톤 생산 목표로서 탄소배출이 불가피한 LNG 추출 수소방식이 100%를 차지한다”며 “이후 2030년에는 194만톤 생산 목표 중 추출수소가 50%, 나머지는 부생수소와 수전해, 해외생산으로 설정돼 있다”고 밝혔다.

이에 가스공사가 제출한 자료 분석 결과 2030년 부생수소가 6만톤, 추출수소가 86만5000톤이고 나머지는 해외수입이거나 수전해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대부분 해외수입이나 수전해 방식을 통해 2030년 80만톤을 생산, 공급해야 하는 상황에서 해외국가들과 비교 우리나라의 대응책에 미흡한 면이 있다고 정 의원은 지적했다.

특히 EU는 향후 4년간 6GW의 수전해 설비를 설치할 계획이며, 일본은 해외수소 공급처를 다변화하고 국내 수전해 기술 강화를 병행하고 있다는 것. 또한 세계적으로 94개 수전해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며, 일본은 호주, 인도네시아 등과 수소수입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올해 해외사업단을 출범해 용역에 착수한 상황이다.

정 의원은 “해외 국가들은 수소생산 사업에서 앞서가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수입 뿐만 아니라 수전해 생산도 전혀 진행되지 않고 연구단계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가스공사 채희봉 사장은 “일본보다 속도가 느린 것은 맞다”며 “이에 공사는 해외 액화수소 프로젝트 추진단을 별도로 만들어 이 부분만 역량을 집중시키도록 조직을 재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한 “빠른 시간내에 CO₂ 프리의 수소를 국내에서 대대적으로 확산시킬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향후 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와 같은 지원정책이 생기기 때문에 수소 대규모 수요가 발생하고 대량생산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가스공사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에서 수소생산방식은 ▲그레이수소(CO₂ 배출을 제한하지 않고 화석연료로부터 생산) ▲블루수소(탄소포집기술을 결합한 화석연료로부터 생산) ▲그린수소(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무배출)로 구분된다.

현재 대부분의 수소는 화석연료로 부터 생산되는 그레이수소이고 이 방식이 경제적으로 가장 유리하다. 그레이수소는 2030년까지도 글로벌 시장에서 폭넓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스공사는 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 수소방식은 수소 산업을 견인해 나갈 핵심 기술 분야이기 때문에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기술개발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