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전국 도시가스 보급률은 83%에 달하지만 군지역의 보급률은 2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같은 면지역이라도 광역시와 일반시의 보급률(20%)에 비해 군지역의 면은 5%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처럼 미공급지역은 수요밀집도가 매우 낮아 도시가스 회사의 정상적인 영업활동이 불가능한 곳이다. 즉 해당지역의 가스요금만으로는 투자비 회수가 불가능한 지역이 대부분.

도시가스회사는 공공성을 띤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만 엄연한 민간회사이다. 때문에 경제성이 나오지 않는 지역까지 무리하게 배관투자를 할 경우 그 부담은 가스요금이 상승이나 안전관리 투자 축소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정부도 소형 LPG저장탱크 보급이나 위성기지 건설, 탱크로리 도시가스 공급 등 다양한 지원대책을 수립했지만 사각지대는 여전히 존재 한다.

이 가운데 정부는 2017년 12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 수립을 통해 도시가스 낙후·소외지역에 ‘연료전지발전소’를 세워 연료전지 보급을 확대하는 에너지신산업 육성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도시가스 소외지역 인근에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설치해 주 연료인 도시가스의 공급배관을 연결한 후 인근 소외가구에 보조배관을 통해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최근 울산연구원 역시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에 발전용 연료전지를 설치한다면 정부의 수소연료전지 보급정책에도 부합하면서 에너지 복지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또한 이미 도시가스회사인 대성에너지의 경우 에너지 소외마을에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설치해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마을형 연료전지 발전사업’을 추진 중이다.

파주시는 농촌 상생형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통해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농촌마을 지역을 대상으로 소규모 친환경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설치한다고 최근 밝히기도 했다.

수소연료전지 보급이라는 정부 로드맵 수행은 물론 에너지복지도 증진시킬 수 있는 이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려면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발전설비 부지 확보와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준비를 철저히 수립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