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와 환경, 자동차와 관련한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이 환경관련 시민단체 산하의 위원회에 참여했다.

녹색교통운동은 24일 자동차환경위원회 발족을 기념하는 포럼을 열었다.

위원회에는 고려대 박심수 교수를 비롯해 에너지기술연구원의 이영재 수송에너지연구센터장, 녹색교통운동의 민만기 처장, 전재완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신동천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교수, 조강래 자동차환경센터 회장 등 내노라 하는 에너지와 환경, 자동차 전문가들이 총 망라됐다.

국내 대표적인 환경관련 시민단체를 창구로 저명한 전문가들이 모였으니 그 영향력이 얼마나 막강할지는 충분이 짐작이 가능하다.

발족 포럼에서 정유사와 자동차 제작사를 대표해 참석한 인사들은 위원회의 창립을 축하하면서도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석유협회측 인사는 “정유사들이 생산하는 자동차연료는 주어진 제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고 실제로도 충족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초저유황 경유의 의무보급에 앞서 정유사들이 자발적인 보급사업을 벌여 왔고 또 오는 2009년 이후부터 경유의 황함량이 10ppm이하로 낮아지는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염두에 둔 발언이다.

한편으로는 “중장기 수급예측에 따르면 2020년까지 석유가 1차에너지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 밑으로 떨어질 수 있어 사양산업화 되고 있고 유전개발 등 상류부문에서 발생하는 이익규모가 절대적인 메이저 석유회사들과 정제와 유통에 집중하는 국내 정유사들의 상황은 다르다”며 자동차환경위원회 창립 포럼과는 다소 거리감이 있는 주제를 끄집어 냈다.

“오는 2010년까지 정유사들은 8~10조원에 가까운 예산을 시설 고도화 등에 투입해야 하는 상당히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라고도 말했다.

자동차공업협회 관계자는 국내 자동차의 수출기여도가 높고 친환경 자동차의 조기 상용화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 역시 자동차 업계의 어려움에 발언시간의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환율과 불투명한 자동차 수요, 막대한 개발비 부담 등 국내 자동차산업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토로한 것.

민간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안에서 환경과 관련한 정부대책이 시행돼야 할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사실 쾌적한 대기환경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은 모두가 공감하는 대목이다.

하지만 수도권 대기환경은 OECD국가안에서도 최하위 수준으로 오죽하면 정부가 특별법을 제정해 자동차와 연료를 규제하고 나설 정도다.

그렇다고 국가 정책과 경제에서 환경이 최상위 개념이 될 수는 없다.

우리 경제력이나 행정력, 관련 산업의 기술수준 등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안에서 환경이 논의돼야 한다.

녹색교통운동은 경유승용차 허용과정에서 정부와 맞붙어 에너지세제개편과 다양한 대기환경개선방안을 이끌어 낸 막강한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시민단체다.

이 단체가 자동차환경위원회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전문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점을 환영하면서 국가와 국민이 감내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위 조절에 대한 배려와 산업체가 경계하기 보다는 터놓고 고충을 의논할 수 있는 균형감 있는 역할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