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정부가 자동차 산업구조의 녹색 전환과 전 세계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해 과감한 재정투자에 나선다.

지난 14일 발표된 한국판 뉴딜 사업에서는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전기·수소차) 보급’을 10대 대표과제로 선정해 오는 2025년까지 총 13조원을 지원해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충전 설비 역시 전기차 급속 충전기는 1만5000기, 완속은 3만기 등 총 4만5000기와 수소충전기는 450기를 보급한다.

특히 환경부는 오는 2024년까지 노후경유차를 모두 없애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이처럼 정부는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투자를 과감하게 확대하고 있지만 기존 연료공급처인 주유소 운영자들은 끝이 예고된 사형수처럼 주유소를 접어야 하는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정부가 재정지원을 통해 그 시기를 더욱 앞당기고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불편하다.

물론 일부 국가들이 내연기관차 생산판매를 중단을 예고한 2035년이 되어도 전체 자동차 중 60% 이상 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하지만 그때까지 살아남기 위해서는 경쟁력을 갖춰야 하는데, 가격경쟁만을 부추기며 주유소를 어려운 상황으로 몰고 간 정부는 주유소 철수에 대한 계획이나 지원은 아예 고려하고 있지 않다.

주유소 스스로 그 방안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그동안 주유소들이 찾은 대안은 셀프서비스로의 전환이었다.

주유소 스스로 2억원이상 들어가는 셀프주유소로의 전환을 통해 인건비와 관리비를 절감하고 낮은 가격에 판매해 경쟁력을 갖추려는 것이다.

그런데 셀프주유소의 비중이 37%에 육박하면서 큰돈을 들여 셀프서비스로 전환한다 해도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운 시장이 되고 있다.

풀서비스 대 셀프서비스 대결 구도에서는 이제는 셀프 대 셀프 간의 대결 구도로 바뀐 때문이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셀프주유소로의 전환도 주춤해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돈줄이 막히고 정유사의 지원도 중단되면서 매년 7~15%씩 늘어나던 셀프주유소가 지난 4월 이후 증가세를 멈췄다.

정부는 코로나19 이후를 준비하기 위해 그린 뉴딜 정책을 발표하고 있지만 주유소업계로서는 코로나19 이후에 대한 전망은 더욱 암담할 뿐이다.

최근 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한 토론회에서 어느 학자가 ‘우리는 과거에 에너지 전환을 이미 경험한바 있다’는 발표를 한 바 있다.

과거 연탄에서 석유로의 전환을 이르는 말이다.

생각해보니 그 많던 연탄가게들이 사라지고 이제는 몇 안 되는 연탄가게만이 남아 있다.

정부의 그린뉴딜 계획대로라면 주유소들도 연탄가게처럼 사라지는 시기가 당장 10년 후일 수도 있다. 

50년 넘게 에너지공급처로서 역할을 해온 주유소에 대해 정부의 배려가 전혀 없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