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전기차에 이어 최근 정부가 미는 친환경자동차로 수소차가 뜨고 있다.

수소 택시가 등장했고 버스 연료로 사용중이며 택배나 화물차 용도로 확산되고 있다.

긴 충전 시간에 짧은 주행거리, 낮은 출력 같은 전기차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내연기관차를 대체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구축되는 모양새이다.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내연기관자동차의 자리를 전기, 수소차가 대체할 수 있으니 깨끗한 지구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기계공학자 특히 내연기관 엔진 전문가들의 우려는 깊어가고 있다.

지난 19일 자동차공학회가 주최한 '자동차 기술·정책 개발 로드맵 발표회'에서는 전기차에 꼬리표 처럼 따라 다니는 친환경 논란이 재연됐다.

민경덕 서울대 교수는 전기차의 전생애주기(LCA, Life Cycle Assessment)를 감안하면 온실가스 등 유해 배기가스 배출이 내연기관과 큰 차이가 없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전기차 전생애주기의 환경 친화 성적표는 이미 공개되어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에너지경제연구원 김재경 박사는 지난 2017년 12월 ‘자동차의 전력화(electrification) 확산에 대비한 수송용 에너지 가격 및 세제 개편 방향’ 연구를 통해 전기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나 미세먼지가 내연기관차와 큰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에너지 생산 단계 부터 운송, 저장, 소비되는 과정을 반영한 ‘Well-to-Wheel’을 분석했는데 동일 거리를 주행할 때 전기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휘발유 차량에 비해 53%, 미세먼지는 92.7%로 나타났다.

비배기 분야 즉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타이어나 브레이크 패드 마모에 따른 유해물질은 전기차의 배터리 무게가 무거워질 수록 더 많아진다고 영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 국가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다.

수소차도 전기차와 크게 다르지 않다.

수소차 자체는 청정하지만 화석연료 기반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 같은 환경 오염을 유발한다.

비단 환경 이슈가 아니더라도 우리나라 수출 주력인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내연기관자동차 연구 개발 엔진이 멈춰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높다.

이번 자동차공학회 발표회에서 한양대 이기형 기계공학과 교수는 일본과 유럽 등 주요 자동차 선진국들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비롯한 내연기관 효율을 높이는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기형 교수는 지난 해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도 ‘오히려 일본은 내연기관 엔진 효율을 높이려는 정부와 기업 차원의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내연기관 퇴출 압박이 심해지고 정부 차원의 R&D가 중단되는 등 극명한 시각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R&D과제에서 내연기관 분야가 배제되면서 우수한 인재들이 전공을 기피하고 있고 교육자들도 다른 분야 연구로 옮겨가는 중이며 대학에서는 내연기관 전공 신임 교수를 채용하지 않을 분위기’라며 ‘이런 현상이 몇 년 만 더 지속된다면 국내 내연기관 생태계가 붕괴될 것’이라고도 우려했다.

정부로부터 ‘클린엔진’으로 찬사받고 고효율로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인정받은 것이 멀지 않은 일인데 이제는 ‘더티’하고 ‘퇴출’해야 할 대상으로 전락하고 있다.

그런데 IEA를 비롯한 세계 주요 기구들은 2040년 이후에도 내연기관자동차가 세계 도로를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내연기관자동차의 퇴출을 천명한 유럽 국가들은 이후 실체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하면서 말뿐인 구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평가이다.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 내연기관 역사를 이끌어온 학자와 전문가들은 친환경차와 더불어 내연기관차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병행하는 정부의 중용(中庸)을 주문하고 있다.

앞으로도 상당 기간 국가와 산업의 중요한 경쟁력이 될 수 있는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포기하지 말라는 진심어린 충고를 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이 내연기관자동차의 그늘만 부각시키고 흠집내며 퇴출을 논한다고 우리 정부가 부화뇌동해서는 안된다.

전기·수소차와 내연기관차를 선과 악의 패러다임으로 구획하지 말고 양쪽의 장단점을 면밀하고 냉철하게 진단해 미래 세계 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정책 방향 그리고 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정책의 포트폴리오는 이럴 때 필요한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