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정부는 올해 만큼은 전력대란이 없을 것이라 자신했으나 지난 8월 13일 전력 예비율이 한때 6.7%를 기록하며 또다시 가슴을 철렁이게 했다.

기록적인 폭염으로 비상이 걸렸던 지난해 7월 24일 예비율 7.7% 보다도 낮은 수치인 것이다. 

현재 에너지 공급능력으로는 아무리 추가 예비전력을 확보해놓고, 기상상황을 예측해 대비한다 하더라도 전력대란을 안심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만약 발전소 불시정지나 송전선로 이상 등 비상상황이 벌어졌다면 2011년 9.15 대정전 사태가 재연될 뻔했다. 향후 가정용 누진제 완화로 여름철 가정용 냉방기기 사용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이기에 여름철 전력피크 완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이다.

특히 그동안 전력대란때마다 구원투수 역할을 했던 가스냉방의 경우 9.15 대정전 사태 이후 정부의 정책지원 강화로 보급에 탄력을 받았다.

하지만 지난 2014~2015년 기저설비 확충으로 전력예비율이 20% 이상 웃돌면서 가스냉방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한때 정부 장려금도 반토막이 나기도 했다. 

가스냉방은 전기냉방에 비해 추가비용이 들어가고 유지보수가 까다롭고 다는 인식이 크기 때문에 정부의 강력한 지원 없이 민간시장에서 자생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다행인 점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천연가스를 발전용 에너지원 뿐만 아니라 냉방까지 수요처를 다변화 시킨다는 내용이 담겼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가스냉방을 여름철 전력피크 완화에 적극 활용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가스냉방 보급 지원 방안을 위한 연구용역이 추진되고 있으며, 정부는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말 보급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번 만큼은 단순히 장려금 확대 등의 땜질식 정책 지원이 아닌 보다 구체적이며 현실적인 중장기 지원정책이 담기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