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지난 3월 출범한 수소충전소 특수 목적법인의 주주사로 참여했던 우리나라 최대 수소 공급 업체 ㈜덕양이 증자에 참여하지 않아 출자사 지위를 상실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소에너지네트워크㈜’(Hydrogen energy Network, 이하 하이넷)는 가스공사와 현대자동차가 각각 1, 2대 주주이며 덕양을 포함해 수소 관련 총 13개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해 출범한 회사이다.

지난 1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대대적인 수소차 보급 확대 계획을 제시한 것을 계기로 ‘하이넷’이 본격 출범했으니 흥행할만한 요소는 충분히 갖췄다는 평가이다.

로드맵에서 산업부는 오는 2022년까지 수소 버스 2000대를 포함해 총 6만7000대의 수소차를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수소차가 늘어나면 수소를 충전할 수 있는 에너지 공급소도 확충돼야 하는데 하이넷은  2022년까지 전국에 수소충전소 100곳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니 미래 신사업을 선점할 수 있다.

다만 그 과정에서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고 하이넷은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금을 확충중인데 덕양은 증자에 참여하지 않아 출자사 지위를 상실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부 다른 출자사들도 유상증자 참여에 우호적이지 않다는 분위기가 전해지고 있다.

수소차가 핵심인 수소경제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강조하며 육성 의지를 밝힐 정도로 유망한 산업 분야로 해석되고 있으니 충전소 네트워크 구축을 선점하는 것은 분명 ‘기회’일텐데 모두의 생각이 똑같지는 않은 듯 싶다.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고 시장 개척에 오랜 시간 공을 들여야 한다거나 제한된 투자 재원을 다른 방향으로 투입하기 위해서 등 하이넷 투자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최종 판단은 기업가의 몫이니 존중하면 된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과제중 하나로 울산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오일허브가 추진된 적이 있다.

석유제품을 생산·제조·저장하고 수출입, 금융 지원 등을 망라해 글로벌 기업들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공간이 오일허브인데 우리 정부는 미국 걸프만 연안, 유럽 ARA(Antwerp, Rotterdam, Amsterdam), 싱가포르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 거점을 구축하겠다는 비전을 내세웠고 글로벌 수송 기업들이 주주 참여를 약속하는 모습이 연출되기도 했다.

하지만 주주 참여를 약속했던 해외 기업들이 모두 빠져 나가면서 정부가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투자를 강요한다는 논란이 일었고 현재는 석유공사 중심으로 기본적인 운영비용을 충당하며 명맥만 유지되고 있다.

국책사업이어도 또 대통령 관심 사업이어도 사업은 사업일 뿐이며 성공을 담보받을 수 없다.

그래서 정부가 기업들을 향해 사업 참여나 투자를 강요해서는 안되며 기업이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길을 터주고 정보만 제공해주면 된다.

SPC로 출범된 하이넷의 사업 경제성 등을 이유로 유상증자 포기나 주주 이탈 등의 삐걱거림이 보이고 있지만 판단은 기업 자율의 몫이고 이 또한 시장 경제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우려할 일은 아니다.

오히려 정부가 개입하고 간섭하고 강요하는 것이 문제인데 그런 기우는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 다행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