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에너지저장장치인 ESS의 잇따른 화재 사고 원인이 제품 불량 그리고 정부의 성급한 보급 정책에 상당한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다.

지난 2017년 8월 전북 고창의 풍력 발전 연계용 ESS 화재를 시작으로 최근까지 발생한 ESS 화재는 23건에 달한다.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중 14건은 ESS 충전을 완료하고 방전 대기 시간중에 발생했다.

충·방전 과정에서도 6건의 화재가 생겼다.

23건중 20건의 화재가 ESS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거나 또는 완전 충전 이후 처럼 정상적인 가동 과정에서 발생했으니 제품 불량 가능성을 의심할 개연성은 충분하다.

실제로 조사위원회 분석 결과에서도 다수의 화재 사고가 동일한 제조 공장의 비슷한 시기에 생산된 배터리를 사용한 것이 확인됐다.

모 업체가 생산한 셀에서는 극판 접힘, 절단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제조 결함도 입증됐다.

만시지탄이지만 이제라도 정부가 화재 원인을 파악하고 ESS 제조·설치·운영 단계의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대목은 환영할 만 하다.

그렇다고 정부가 ESS 화재 사고의 책임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은 아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ESS 화재 사고를 현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 연결시키거나 무리한 확대 보급 정책을 질타하는 언론 등의 지적에 날을 세우고 있다.

최근 내놓은 해명 자료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소중 ESS가 연계 설치된 비중은 2.2%에 불과하다는 통계를 내놓으며 ESS 화재가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서 비롯됐다는 것이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그런데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가 아닌 다음에도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 전기를 저장해서 판매하는 ESS를 설치할 사업장이 얼마나 되겠는가?

ESS가 연계된 태양광 발전 비중은 그런 측면에서 통계를 차용한 팩트 왜곡이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ESS 본연의 역할이 시간과 일기, 공간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제한된 자원을 공급하는 자연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기에너지를 저장해놓는 설비라는 점에서도 에너지 전환 드라이브를 위한 매우 중요한 파트너라는 점을 부인할 수는 없다.

ESS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원인 파악에 나섰고 각종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해법까지 내놓았으니 에너지 전환에 드라이브를 걸 수 있는 전화위복이 됐다.

현 정권의 국정 과제라고 해서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시비 때 마다 매사 해명하고 대응하며 예민하게 굴 일은 아니다.

때로는 과실을 인정하는 모습이 더 큰 진정성을 보여주고 응원을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