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야드트랙터 연구는 이달 종료, 도법 개정도 추진
도로 LNG 이동충전은 안전성 문제로 추진 가능성 ↓

▲ 이베코 LNG 트럭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정부 주도로 지난해부터 LNG 화물차 시범사업이 시작되는 등 시장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보급확대 필수요소인 충전 인프라 구축은 뚜렷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해양수산부 주도로 항만내 LNG 야드트랙터의 이동충전 보급 연구용역이 추진됐고, 관련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도 정부에 제출됐으나 기대를 모았던 LNG 화물차 이동충전은 안전성을 이유로 회의적 시각이 팽배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LNG 화물차에 대한 수요가 없는 상황에서 높은 비용의 고정식 충전소를 건설하겠다고 나서는 사업자는 없을 것”이라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이 투입되는 이동식 충전소 보급을 통해 시장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의 이 같은 기대와 달리 화물차를 위한 도로에서의 LNG 이동충전은 추진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한국가스안전공사 관계자는 “LNG 화물차 활성화를 위해선 보급초기 이동식 충전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하지만 유럽에서도 이동식이 고정식보다 허가를 받기 더 어렵고, 관리측면에서도 더 까다로운 것이 현실”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항만내 이동 충전의 경우 공간이 정해져있고, 수요 계획도 정확히 잡힐 수 있기 때문에 설치후 폐지까지 안전 관리가 용이한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가스공사 역시 도로 LNG 이동식 충전 보급은 당분간 검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정부와 협의 과정에서도 도로 LNG 이동충전은 안전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의견을 주고 받았다”며 “항만내의 이동충전은 이동거리가 짧고 구역이 정해져 있어 고정식보다 이동식이 편리하고, 안전에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검토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혀다.

관련 업계에서는 CNG 버스 역시 보급 초기인 2000년대 초반 이동충전이 활용됐기 때문에 LNG 역시 안전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 가스공사 관계자는 “기체상태인 CNG를 이동, 충전하는 것과 -162℃ 액체인 LNG의 온도를 조정,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은 안정성면에서 비교될 수 없다”며 “이동 충전은 안전성 면에서 힘들 것으로 보기 때문에 고정식 소규모 충전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수요가 적은 지역에 우선은 소규모 충전소를 설치해 일정 수요가 도달하면 폐기 후 정식 충전소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가스공사에 따르면 경유에서 LNG로 개조한 야드 트랙터의 누적 보급대수는 2018년까지 총 177대이고 올해에는 100대 보급이 계획돼 있다.

정부는 2008년 화물차 엔진을 경유에서 LNG 혼소로 바꾸는 사업을 추진했으나 2011년 정부의 예산 지원이 중단되며 보급이 거의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처럼 LNG 화물차 개조사업이 부진했던 이유는 LNG 충전인프라 구축이 미비했고, 비싼 개조비용 및 기술적 안정성 문제 등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지난해 9월에 정부는 다시 LNG 화물차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정부도 지원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히는 등 LNG 화물차 재보급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9월 타타대우상용차와 한국가스공사,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가 LNG 트럭 시범차량 인도식을 개최했으며, 11월에는 볼보트럭이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볼보 FH LNG 트럭을 공개했다.

현재 LNG 화물차 충전이 가능한 곳은 대전, 포항, 광양, 동해, 김포, 인천의 LCNG 충전소 6개소로 LNG 화물차 보급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