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산업 육성 전략 확정, 고리1호기가 첫 수술대

2030년 해외 해체 시장 단독 진출 로드맵도 수립

현장 인력 1300명 교육, 에너지혁신성장펀드도 조성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등 정부가 노후원전 운전 중단 이후를 대비한 산업 육성에 나서는데 미래 글로벌 시장 진출이 타깃으로 제시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열린 제13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안을 상정해 확정했다.

육성전략안에 따르면 2020년대 중반 이후 설계 수명 만료 원전이 확대되는 상황에 대비해 국내 첫 수명 종료 원전인 고리1호기 해체를 계기로 기술 역량 축적, 산업 생태계 창출의 기회로 삼는다.

특히 원전 건설-운영 등 기존 선행 주기에 해체-폐기물 관리 등 후행 주기 분야까지 더해 원전산업 전 주기에 걸친 경쟁력을 확보하고 원전기업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그 일환으로 설립이 추진되는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해체 산업육성 및 원전 중소기업 지원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하게 되는데 본원은 부산·울산, 경주에는 중수로해체기술원이 들어설 전망이다.

◇ 궁극적 목표는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국내외 원전 해체 시장 확대에 대비한 생태계 창출 및 산업역량 확충과 관련해 ▲ 초기시장 창출 및 인프라 구축 ▲ 원전해체 전문 강소기업 육성 ▲ 단계적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 제도기반 구축 등 4대 중점 전략도 추진된다.

그 일환으로 노후 원전의 본격 해체 시작 전인 2022년까지 해체 물량 조기발주, 상용화 R&D 등 민⋅관 합동으로 대규모 선제 투자를 추진한다.

고리 1호기 해체 착수 이전이라도 원전 기업 초기 일감을 창출하고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원전해체 사업을 세분화해 해체 준비 시설 등 가능한 부분부터 조기발주에 착수하겠다는 것.

원전기업이 해체 분야로 사업을 전환해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생태계기반, 인력, 금융 등 종합지원도 추진된다.

이와 관련해 원전이 들어선 지역들과 협력해 인근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기업 집적 및 생태계 활성화가 추진되는데 울산에는 에너지융합 일반산단, 부산은 방사선의과학 산단, 경주는 감포단지 등이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기존 원전 인력을 해체수요에 맞게 단계적 전환을 유도하는 등 전문인력도 양성되는데 2022년까지 현장 인력 1300명 교육 목표를 세우고 에너지혁신성장펀드 조성 등 금융지원 확대도 병행 추진된다.

해체실적(Track-record)이 중요시되는 해체 시장 특성상 고리 1호기 실적을 토대로 3단계에 걸쳐 해외진출도 모색된다.

고리 1호기 해체 진도에 맞춰 ‘해외 해체원전 단위사업 수주(2020년대 중반)→ 원전 운영 경험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3국에 선진국과 공동진출(2020년대 후반)→제3국 단독진출(2030년대 이후)’ 등 총 3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것.

이외에도 원전 해체 전문기업 확인제도 운영 등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적 근거를 신설하고 안전기준 명확화⋅해체 세부기준도 마련된다.

한편 산업부는 원전 해체산업 육성 전략을 통해 2030년대 중반까지 세계 원전 해체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하고 Top5 수준까지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