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전환 정책서 온실가스 감축 수단 인정 못받아 
재생에너지․히트펌프 미활용 열원으로 탈화석화 필요

▲ 양주열병합발전소 전경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국내 집단에너지 산업도 장기적으로는 탈화석화를 추진, 에너지전환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에너지경제연구원 오세진 연구위원은 지난 15일 공개된 ‘에너지포커스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히고, 집단에너지 산업은 가스 열병합발전에서 바이오 열병합발전이나 재생에너지 열원 등으로 점진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 연구위원은 ‘현재 집단에너지 공급에서 천연가스 열병합발전 역할은 거의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며 ‘에너지 이용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탈화석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바이오 열병합발전 뿐만 아니라 태양열이나 재생에너지 전력 기반의 히트펌프 등 미활용 열원도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장기적 과제가 모색돼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향후 집단에너지 정책 역시 탈화석화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열공급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할 경우 제도화된 REC 등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를 적용할 수 있지만 산업폐열이나 소각열 등 미활용 열원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지원제도가 없는 상황이다.

오 연구위원은 “미활용 열원이 화석연료의 소비와 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는 점에서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며 “인프라 구축과 관련 법․제도 정비, 거래체계 등이 확립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유럽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화두가 되고 있는 4세대 지역난방은 저온 열을 사용해 열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기술로서 재생에너지와 미활용 열원을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대 들어 LNG 가격이 급등한데 반해 전력 수요 증가세는 둔화되면서 가스 열병합발전의 수익성이 크게 저하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기후 온난화와 건물 단열 성능 향상으로 단위 세대 당 열 수요도 감소하면서 지역난방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경영 적자가 2010년 이후 최근까지 고착화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2015년부터 국내에도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면서 집단에너지 사업자는 배출권 거래 대상인데 반해 경쟁난방 산업인 도시가스 부문은 제외됐기 때문에 앞으로 집단에너지의 가정용 보급이 점차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로 2018년 6월에는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입주민 투표를 통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역난방을 도시가스 개별난방으로 전환하는 것을 결정하기도 했다.

보고서는 한때 에너지 절약 수단으로 각광받던 집단에너지가 2010년대 들어 점차 애물단지로 전락해가는 이유로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전환 정책에서 집단에너지가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따라서 집단에너지가 냉난방 부문의 에너지전환 수단으로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또는 그 잠재력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