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개질해 배관망으로 공급하는 수소충전소 추진
수소전기버스로 전환과정서 효과적 대응방안 연구해야

▲ 국내 첫 수소 시내버스인 124번 버스가 울산 정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오는 2022년까지 전기차 43만대, 수소차 6만7000대를 보급할 계획이며 수소버스도 2000대까지 보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수소버스의 경우 지난해 11월 정부가 발표한 계획(1000대)보다 두배 확대됐다.

또한 현대자동차그룹도 오는 2030년 국내에서 연간 50만대 규모의 수소전기차(FCEV) 생산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중장기 수소차 로드맵을 공개한 바 있다.

아직 높은 가격이나 부족한 충전 인프라 등이 걸림돌로 지적되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계속된다면 수소자동차 시대는 머지 않은 미래에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가운데 정부의 친환경자동차 보급 계획이 발표될때 마다 가슴 졸이는 곳이 있으니 바로 '천연가스차량업계'이다

지난해 4월 발표된 서울시의 전기버스 보급계획(2025년까지 전체 시내 버스 40% 전기버스)을 시작으로 전국 지자체들이 연달아 버스 연료전환 지원 정책을 발표할때마다 천연가스차량업계는 혼란에 빠졌다.

CNG(천연가스) 버스는 정부의 주도하에 보급된 이후 그동안 국내 수도권의 대기질 개선에 기여한 대중교통이다. 특히 지난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서울시 등 개최도시를 중심으로 보급이 확대됐다. 서울시의 경우 지난 2012년을 기해 CNG 100% 전환(7400대)를 달성했다.

이후 천연가스차량 관련 산업도 급격한 성장을 이뤄왔다. 서울과 경기지역에만 약 96개의 CNG 충전소가 운영 중이며 모두 CNG 버스 운행을 위해 건설된 곳이다. 

이 때문에 수소전기버스의 보급이 확대될 경우 CNG 관련 산업은 자연히 도태될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반면 수소자동차는 돌이킬 수 없는 대세로서 천연가스업계가 서둘러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인프라가 없는 수소버스의 안정적 보급을 위해 기존의 CNG 충전소를 활용하는 방안이 우선 추진 되기 때문에 반드시 위기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서울시의 경우 CNG를 분해해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의 ‘CNG 개질식 수소충전소’를 국내 최초로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한국가스공사의 공급관리소에서 천연가스를 개질해 배관망으로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충전소 구축도 추진한다.

업계에서도 이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한국천연가스차량협회가 환경부 승인을 받아 지난해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로 명칭을 바꾼 것이다.

협회는 천연가스 자동차 보급 활동에서 한발 더 나아가 수소전기차 보급 및 천연가스충전소를 활용한 수소충전소 구축에도 적극적인 역할을 해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밝혔다.

협회 관계자는 "기존 천연가스버스 차고지내 충전인프라를 활용한 개질방식의 수소충전소 구축방안과 미래에 CNG 시내버스의 수소전기버스로의 전환과정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연구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