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택시와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으로 보유가 한정된 LPG 자동차를 일반인에게도 폭 넓게 허용하자는 내용의 법안이 국회에 상정되어 있다.

관련 법안을 운용하는 산업통상자원부는 LPG차 사용제한 완화에 따른 사회적 편익이 크다는 입장이니 시점의 문제일 뿐 규제가 풀리는 것은 거스를 수 없어 보인다.

그런데 LPG를 누구나 소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더라도 막상 선택할 수 있는 차가 없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장벽은 사라졌는데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LPG차량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LPG 승용차는 현대자동차의 아반떼와 소나타, 그랜저를 비롯해 기아자동차의 K5와 K7, 르노삼성의 SM5와 SM6, SM7 등 8종 뿐이다.

휘발유차가 50종이 넘고 경유차도 40종이라는 점과 비교하면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LPG 승용차의 폭은 좁다.

5인승 LPG RV 차량에 대한 소유 제한은 이미 해제됐지만 아직도 신차가 출시되지 않고 있다.

화물 상용차 분야에서는 단 한 종 뿐이다.

기아차에서 생산하는 1톤 화물상용차 봉고가 유일하다.

완성차 업체에서 시장성이나 수익성을 이유로 LPG 자동차 개발과 출시에 미온적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정부 자금을 지원받아 추진된 LPG 엔진 개발의 성과가 상용화로 이어지지 않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국내 굴지의 자동차 메이커는 환경부 친환경자동차기술개발사업단의 재정 지원을 받아 LPG 화물차 연비를 높이고 유해 배출가스를 줄이는 엔진 개발을 수행중인데 상용화 단계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수요가 제한적이라는 이유 등으로 완성차 업체가 제작을 주저하고 있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분석이다.

정부 지원을 받아 개발한 엔진을 활용하지 않는 것은 명백한 세금 낭비이다.

정부와 국회가 LPG 사용 제한 규제를 풀고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줘도 열쇠는 완성차 업체들이 쥐고 있으니 LPG차 선택권이 넓어진 것인지 아닌지 알쏭달쏭할 뿐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