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예산에 30억 첫 편성, 2023년까지 290억 투입키로
전기차도 비배기관 미세먼지 배출, 배기구 보다 더 많아
국회 예산정책처 '환경부와 사업 중복 우려, 관리 철처 주문'

전기차 같은 그린카도 주행 과정에서 타이어와 브레이크 패드 마모에 따른 미세먼지 발생은 동일하다는 분석이다. 사진은 전기택시 등 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하는 모습이다.(사진은 특정 기사와 무관함)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산업통상자원부가 타이어, 브레이크 패드 마모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예산을 내년에 첫 편성했다.

다만 환경부가 추진중인 내마모 강화 타이어 개발 사업 등과 중복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산업부는 수송분야 비배기관 미세먼지 저감 사업을 위해 내년 예산에 30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일반적으로 수송분야 미세먼지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연료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비배기관 미세먼지’는 타이어나 브레이크 패드 등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이르는 것으로 국내 전체 미세먼지 배출량중 상당 수준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부가 지난 2016년 6월 발표한 전국 미세먼지(PM2.5) 배출량 분석 자료에 따르면 비산먼지 등 생활주변오염원이 유발하는 미세먼지가 16%에 달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김재경 박사가 발표한 차량 주행 과정에서의 미세먼지(PM10) 배출량 분석 결과에서도 타이어 마모나 브레이크 패드 등에서 유발되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내연기관 자동차의 배기구에서 발생하는 것 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거리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유자동차가 배출하는 PM10은 0.00724g이었는데 브레이크 패드 마모에 따른 미세먼지 배출은 더 많은 양인 0.00735g가 유발됐고 타이어 마모도 0.00642g이 발생했다.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김재경 박사, 자동차의 전력화(electrification) 확산에 대비한
수송용 에너지 가격 및 세제 개편 방향 연구>  

비배기관에서 유발되는 미세먼지가 수송분야에서 더 큰 환경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친환경차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기차나 수소차는 자동차 배기관에서 미세먼지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도로 주행 과정에서는 내연기관자동차와 똑같은 양의 비배기관 미세먼지를 유발한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김재경 박사는 ‘전기차 자체도 내연기관과 같이 브레이크 패드나 타이어 마모를 통해 비산먼지를 양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비배기관 미세먼지 저감 위해 친환경 소재 개발 추진

이처럼 그린카를 포함한 모든 자동차에서 동일하게 비배기관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것과 관련해 산업부는 내년부터 2023년까지 총 290억원을 투입해 친환경 소재와 부품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자동차 타이어와 브레이크 등 비배기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재와 부품을 개발하고 비배기관 미세먼지의 측정, 평가, 표준화를 추진하겠다는 것.

그 일환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을 전담기관으로 선정하고 내년 처음으로 30억원을 투입해 관련 소재와 부품 개발, 친환경 평가 및 실증 등의 사업에 나서는 방안을 모색중이다.

다만 환경부가 친환경자동차기술개발사업단(이하 환경부 사업단)을 통해 추진중인 사업과 중복될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환경부 사업단에서는 이미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저마모*저탄소 타이어 개발을 진행중이다.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측정법도 연구중이다.

다만 브레이크 패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저감 분야는 손을 대지 않고 있다.

미세먼지를 30% 저감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마찰재 등을 개발하겠다는 산업부 목표와 충돌하지 않는 것.

이와 관련해 국회 예산정책처는 환경부와의 사업 중복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친환경 타이어 소재에서 환경부는 마모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소재를 개발하고 산업통상자원부는 미세먼지 저감 타이어 소재를 개발한다는 측면에서 지원대상의 차이는 있지만 미세먼지 저감 소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마모성 등에 대한 기술개발이 이뤄질 수 있어 사업 간 연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한 산업부의 수송 분야 비배기관 미세먼지 저감 사업이 환경부 사업과 일부 중복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감안해 철저한 사업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