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매년 수백곳의 주유소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폐업중인 것은 통계로 확인되고 있다.

2010년 12월 1만3004곳을 정점으로 주유소 수는 매년 감소해 올해 8월에는 1만1808곳까지 줄어들었다.

8년여 만에 1196곳이 감소했다.

주유소를 지을 땅이 있어야 하고 그 땅 위에 지하저장탱크를 매립하고 주유기를 설치하며 캐노피를 세우고 방화벽을 갖추는 과정에 최소 십수억원이 넘는 자본이 투입돼야 하는 만만치 않은 사업인데 한 해 150곳 가깝게 줄어 들고 있다.

돈이 되지 않거나 적자를 내기 때문이다.

문을 닫는 과정에서 폐업 비용을 마련하지 못해 방치되는 곳들도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국회 김정훈 의원실에 따르면 폐업 이후 시설물이 일부 철거 또는 방치된 주유소는 총 183개로 파악됐는데 이중 59%에 해당되는 108곳은 폐업 이후 토양오염도 검사와 위험물 용도폐지 절차 없이 방치되고 있다.

도심에 위치해 있다면 돈벌이 되지 않는 주유소를 헐고 다른 용도로 전환할 수 있겠지만 지방 중소도시의 외곽이나 국도변에 덩그러니 떨어져 있는 주유소 자리를 대체할 만한 수익꺼리를 찾기는 쉽지 않다.

매설된 지하저장탱크를 끄집어 내며 시설물을 철거하는데만 1억원이 넘는 비용이 필요하고 주유소 운영 과정에 기름이 누출되어 토양이라도 오염됐다면 정화 과정에 억 단위의 자금이 추가로 투입돼야 한다.

망한 마당에 시설물을 철거하고 오염토를 정화할 돈은 더더욱 없을 것이 뻔하다.

그래서 방치되는 주유소가 늘어나고 있다.

주유소에 뛰어든 것은 사업자의 판단이고 폐업에 내몰린 것은 경영자가 책임져야 할 몫인 것은 맞다.

하지만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1%에 그치는 열악한 수익 구조 아래 내몰린 주유소의 경쟁을 촉진시키겠다며 매일 같이 석유 판매가격을 모니터링해서 공개하고 정부 상표인 알뜰주유소를 런칭했고 석유전자상거래를 개설한 정부 책임도 적지 않다.

중소기업연구원 홍충기 책임 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공생이 가능한 주유소 수는 1만60 곳으로 추산되고 있다.

공생은 같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뜻하니 이 순간이 되면 치열했던 경쟁은 잠잠해지고 석유 물가는 올라갈 것이며 소비자들은 지금보다는 더 비싼 기름을 구매해야 할 지 모른다.

그래서 매일 마주치던 어느 도로의 주유소가 어느 날 사라지고 그 수가 줄어 드는 것은 정부나 소비자에게도 이로울 일은 없다.

서민 물가 부담 완화를 이유로 정부는 유류세 15% 인하 조치를 내놓으며 선심을 쓰고 있는 사이 주유소들이 좌불안석이다.

이달 6일을 기해 유류세가 인하되는데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기름값은 당장 내릴 수 없는 구조를 소비자들은 이해하려 들지 않고 정부는 제대로 인하하는지 감시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유류세가 낮춰지기 이전에 사들인 석유제품 재고가 해소돼야 인하 요인을 판매 가격에 반영할 수 있을텐데 주유소를 향한 불편한 시각이 억울할 만도 하다.

한 때 지역 유지 소리 듣던 시절이 있었던 것은 맞다.

그런데 지금은 투자금 조차 회수 하지 못하고 내버려지는 주유소가 수십곳에 달하고 매년 수백곳이 문을 닫을 만큼 곤궁하고 또 곤궁한 처지에 내몰린 것이 주유소이다.

판매량과 마진이 줄어 죽을 판인데 더 경쟁하라고 다그치는 정부, 정부가 유류세 내렸으니 당장 기름값 낮춰야 한다는 여론은 시쳇말로 주유소를 두 번 죽이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